-
유승민 "5·18헌법 수록과 원포인트 개헌 모두 찬성"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이 5·18민주화운동 43주년을 앞두고 국립 5·18민주묘지를 방문, "5·18정신 헌법 전문 수록 등을 위해 국민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진정성 있는 개헌안에 속도를 내 합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또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의 5·18 관련 부적절한 발언애 대해 같은당 전 의원으로서 대신 사죄의 뜻을 전했다.유 전 의원은 15일2023.05.15@ 강승희
-
전남에서도 이어지는 5·18 추모 열기 '고조'제4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 행사들이 곳곳에서 진행되며 열기를 더해가는 가운데 전남지역에서도 기념식이 열리며 추모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있다.15일 전남 5·18민중항쟁 43주년 기념행사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30분부터 전남도청 옛 전남도청 현판 앞에서 제43주년 기념식이 약 1시간 동안 진행됐다.기념식에는 한봉철 상임행사위원장을 비롯해 김2023.05.15@ 김종찬
-
윤석열 대통령, 광주 발전 위한 '통 큰' 선물 내놓을까"이제 광주와 호남이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이라는 보편적 가치 위에 담대한 경제적 성취를 꽃피워야 한다."(윤석열 대통령, 5·18민주화운동 제42주년 기념사)"광주군공항 이전, 전남 국립의대 신설, 광주·전남 반도체 특화단지 조속히 하려면, 호남 예산을 힘 있게 배정할 수 있는 제가 돼야 합니다."(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3·8 전당대회 호남 합동연설회)오는2023.05.15@ 이삼섭
-
행불자 242명 중 233명 '미확인'···책임자 조사도 '차질'[43주년 5.18, ‘오월 광주’의 오늘] ⑥진상규명위 남은 숙제는? "왜 쏘았니? 왜 찔렀니? 트럭에 싣고 어디갔니?" -1980년대 민중가요 '오월의 노래' 中.진실을 밝힐 마지막 기회로 꼽히던 5·18진상규명위원회의 활동 종료가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1980년 광주의 비극은 여전히 '물음표'투성이다.43년의 세월이 흘러 관련자들이 하나둘 세상을 떠나고2023.05.15@ 안혜림
-
전국 넘어 전세계서 '추모행렬'···기념일 앞둔 민주묘지 '북적'"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세계 곳곳에서 분열과 다툼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민주화의 성지인 광주를 찾아, '광주정신'을 되새겨야 할 것 같습니다."5·18민주화운동 43주년을 앞두고 전국 각지와 전세계에서 광주를 찾는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광주를 방문하는 이들은 제각기 나이와 종교, 국적이 달랐지만 하나같이 '광주정신을 계승하겠다'고 입을 모았2023.05.14@ 안혜림
-
'들불열사' 신영일의 삶 담은 평전 발간1980년대 광주에서 민주화운동을 이끌었던 신영일 열사의 삶을 기록한 평전이 발간됐다.신영일 열사 35주기 추모 및 평전 출판 추진위원회(위원회)는 지난 13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 역사의 문에서 '신영일 열사 추모 및 평전 헌정식'을 열었다.헌정식에서는 지난 9일 발간된 '신영일 평전-광주의 불씨 하나가 6월 항쟁으로 타오르다'가 소2023.05.13@ 안혜림
-
여야 정치인 '총출동' 5·18 43주년 추모열기 '최고조'5·18민주화운동 43주년을 앞두고 추모열기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여야 정치인들의 국립 5·18민주묘지 참배가 잇따르고 있다.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진보당 등 정당을 막론하고 전·현역 의원들의 5월 영령의 넋과 그들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기 위한 광주 행렬이 줄을 잇고 있다. 문재인 전 대통령과 이재명 당 대표의 5·18묘지 참배가 예상되는 가운데 유승민2023.05.13@ 이예지
-
특전사 광주 헌혈 행사 '의미 퇴색'대국민 공동선언식 이후 화합의 행보를 이어오고 있는 일부 5·18 공법단체와 특전사 동지회가 5·18민주화운동 당시 귀중한 생명을 살린 공동체 정신을 기리기 위한 헌혈 행사를 열었지만 의미가 퇴색됐다는 지적이다.항쟁 진압의 만행을 사죄하고자 특전사의 상징인 검은 베레모를 쓰고 다시 한번 광주를 찾았지만 정작 헌혈을 한 회원은 1명에 불과했기 때문이다.공법단2023.05.12@ 박승환
-
전우원 '무릎 사죄' 긍정적 반응 '67%'광주를 찾아 5·18민주화운동 유가족과 피해자를 만나 무릎을 꿇고 사죄한 고 전두환의 손자 전우원(27)씨의 사죄를 국민 과반수 이상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2일 5·18기념재단에 따르면 재단은 여론조사전문기관 ㈜서던포스트에 의뢰해 지난달 21일부터 24일까지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2023년 일2023.05.12@ 박승환
-
공동선언식 이후 '83일'만에 만났지만…타협 불가특전사 동지회와의 대국민 공동선언식 이후 갈등이 극으로 치달은 일부 5·18 공법단체와 시민사회단체가 83일 만에 한 자리에 모였으나 서로의 입장 차이만 확인했다.공법단체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와 5·18민주화운동공로자회, 광주·전남 196개 시민사회단체가 모인 '오월정신 지키기 범시도민 대책위원회'는 12일 오전 10시께 광주 동구 전일빌딩245 NGO2023.05.12@ 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