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18기록관, 5·18 당시 전경 일기장 기증받아"전국에 특별비상계엄이 0시를 기해 선포됨에 따라 광주 전역에 수 천명의 공수병들이 쫙 깔렸다. 새벽 일찍부터 방습복 차림에 시내 도청 앞으로 출동했다. … 중략 … 온몸이 피투성이가 된 채 체포된 어느 남녀 데모대 2명이 계엄군의 구둣발에 체이며 끌려가고 … 중략 … 점심밥조차 넘어가지 않았다." < 5월 18일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은 1980년2023.03.14@ 박석호
-
5·18민주화운동 진압작전 투입된 김귀삼씨, 고백과 증언5·18민주화운동 당시 공수부대 부사관으로 진압작전에 투입됐던 김귀삼(68)씨가 14일 광주 서구 쌍촌동 5·18기념문화센터 대동홀에서 5·18 부상자회가 마련한 '고백과 증언' 오늘의 증언이 518진상규명의 첫걸음이다에 참석, 당시 상황에 대해 입장을 밝히면서 피해자 김태수씨 앞에서 눈물을 닦고 있다. 정성국 5·18민주화운동공로자회회장, 황일봉 5·182023.03.14@ 양광삼
-
5·18민주화운동 진압작전 투입된 김귀삼씨, 사과 인사5·18민주화운동 당시 공수부대 부사관으로 진압작전에 투입됐던 김귀삼(68)씨가 14일 광주 서구 쌍촌동 5·18기념문화센터 대동홀에서 5·18 부상자회가 마련한 '고백과 증언' 오늘의 증언이 518진상규명의 첫걸음이다에 참석, 당시 상황에 대해 입장을 밝히기 전 피해자 김태수씨 앞에서 사과 인사를 하고 있다. 정성국 5·18민주화운동공로자회회장, 황일봉2023.03.14@ 양광삼
-
5월이면 43주년인데··· 5·18 사적지 관리 손 놓았나14일 오전 찾은 5·18 사적지 제19호 양동시장. 사적비에는 '이곳(복개상가) 양동시장은'이라는 문장 구조가 맞지 않는 글귀가 적혀 있었으며, 사적비 옆 조형물 안내문에는 담뱃불에 그을린 흔적과 버려진 담배꽁초들이 눈에 띄었다. 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오는 5월로 5·18민주화운동이 43돌을 맞지만 그날의 역사와 흔적이 고스란히2023.03.14@ 박승환
-
일부 5·18단체, 5·18 행사위 불참 선언공법단체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와 5·18민주화운동공로자회가 지난달 23일 오전 광주 서구 쌍촌동 부상자회 회장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특전사 동지회와 함께 주최한 '포용과 화해와 감사' 대국민 공동선언식 추진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양광삼기자 ygs02@mdilbo.com 제43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 출범식을 사흘 앞두고 5·18단체 간2023.03.13@ 박승환
-
김재원 "5·18정신 헌법 수록 반대"···지역 정치권 반발[서울=뉴시스] 전진환 기자 =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책의원총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3.03.10. amin2@newsis.com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5·18민주화운동 정신을 헌법에 수록할 수 없다'는 취지로 발언한 것이 밝혀지면서 지역 정치권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13일 정치권에 따르2023.03.13@ 이예지
-
5·18 당시 계엄군 "내가 찌른 피해자 찾아 사죄하고파"공법단체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와 5·18민주화운동공로자회가 지난 23일 오전 광주 서구 쌍촌동 부상자회 회장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특전사 동지회와 함께 주최한 '포용과 화해와 감사' 대국민 공동선언식 추진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양광삼기자 ygs02@mdilbo.com 일부 5·18 단체와 특전사 동지회가 함께 개최한 '포용과 화해와 감사' 대국2023.03.08@ 박승환
-
전남대, 5·18민주화운동 구술 증언록 영문 번역서 출간5·18 구술 증언록 영문 번역서 표지. 전남대는 4단계 BK21 영어권 문화기억 큐레이터 양성 교육연구단(BK교육연구단)이 5·18 구술 증언록 영문 번역서를 출간했다고 8일 밝혔다.이번에 출판 서적은 1990년 발행된 5·18 구술 증언록 '광주오월민중항쟁사료전집'의 영문 번역서다.사회문제해결 프로젝트 하나로 추진된 이번 번역서 출판은 영문학과 교수진2023.03.08@ 이정민
-
일부 5·18단체, 8차 보상 앞두고 헌법소원 청구 예고공법단체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와 5·18민주화운동공로자회가 7일 오전 광주 서구 쌍촌동 5·18기념문화센터 리셉션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가배상법 적용을 촉구하고 있다. 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일부 5·18 공법단체가 5·18민주유공자 8차 보상을 앞둔 상황에서 국가배상법을 적용해달라는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한다고 밝혔다.공법단체 52023.03.07@ 박승환
-
3월 이달의 5·18민주유공자 故 이방기씨 선정국립5·18민주묘지관리소는 3월 이달의 5·18민주유공자로 고 이방기씨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고 이방기씨는 1978년 유신독재 시절 민주화운동에 불씨를 제공한 전남대 교수들의 '우리의 교육지표'사건 주역 가운데 한명이다. 1980년 5월 당시에는 동료 교수들과 민주화대성회에 참여했다가 보안사로 연행, 상무대에서 영창생활을 했다.이후에도 5·18 희생2023.03.03@ 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