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사설]43주년이 코앞···5·18 사적지 언제까지 땜질 관리5·18민주화운동이 올해로 43돌을 맞지만 5·18 사적지는 사실상 방치되고 있어 광주시와 각 구청의 사적지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과거와 달리 세계 각국이 역사적 상처를 관광의 주2023.03.19
-
사설 [사설]논점 벗어난 광주전남연구원 논란, '경쟁력' 우선돼야지역의 최대 싱크탱크인 (재)광주전남연구원을 두고 광주시와 전남도가 현 상황에 대한 종합적 진단 하나 없이 분리 필요성만 강조하고 나서 외려 연구원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것 아니냐는2023.03.19
-
약수터 (약수터)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우리는 기계가 아니다.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 53년 전 돌아가신 전태일 열사가 평화시장에서 목숨과 맞바꾸며 외친 말이다. 이제는 그 근로기준법이 노동자들을 죽음으로 몰고 갈2023.03.19
-
문화칼럼 [칼럼] 미디어 문화와 생체시계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건강한 어린이가 됩시다." 80년대 매일 밤 9시 뉴스 직전에 흘러나오던 TV 방송의 캠페인이다. 그 시절 어린이가 지금 중년이 되2023.03.19
-
기고 [기고] 유해해양생물 퇴치를 위한 대비책 조속히 마련해야최근 언론에 빈번하게 보도돼 회자되고 있는 바다의 불청객이 있다.첫 번째는 괭생이모자반이다. 괭생이모자반의 경우 2015년 이후 해마다 중국 동부 연안에서 유입되어 관광지나 해수욕2023.03.19
-
사설 [사설]정부인사 5·18 망언에 내분까지···시민들이 나섰다광주민중항쟁 43주년이 다가오고 있지만 5·18 정신을 흔드는 대내외 악재들이 연이어 터져나오자 광주·전남 시민들은 물론 전국 시민사회단체가 이들의 만행을 규탄하며 오월정신 지키기2023.03.16
-
사설 [사설]장애인에 닫힌 행정문턱···'장애인친화도시' 맞나광주시가 '장애인친화도시'를 천명하고 있으나 장애인들은 물리적인 행정 문턱을 넘어서기도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 광주시와 각 구청의 적극 행정이 요구된다.이는 최근 광주시가 제2차 장2023.03.16
-
독자권익위원칼럼 [독자권익위원 칼럼] AI 바이오헬스케어 시대, 대학 전문 기술교육이 응답할 때최근 챗 GPT, DALL-E2 등과 같은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이 우리 일상과 삶의 방향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일상 속 대화뿐 아니라 문학과 예술 등 창의적 범주까지 넘나들2023.03.16
-
약수터 (약수터) 한·일전 신드롬지난 2006년 3월 WBC 일본전에서 도쿄돔을 뜨겁게 달군 이승엽의 홈런을 기억하는가. 1-2로 뒤진 8회초 1사 1루에서 통렬히 우측 담장을 넘겼던 만점짜리 홈런. 도쿄돔은 침2023.03.16
-
발언대 [발언대] 전동 킥보드 올바른 정착 위해 법 개정 절실전동 킥보드 교통법규 위반 단속이 강화된지 2년이 다가오지만 여전히 교통사고는 물론 보행자 안전까지 위협받고 있다. 대여 절차가 허술해 미성년자도 손쉽게 빌릴 수 있기 때문이다.전2023.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