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월째 통과·기각 반복 '분열과 반목'
집행부 잇단 법정다툼에 지역민 눈살

5·18구속부상자회 회장이 석달 사이 세 차례나 해임되는 이례적인 사태가 발생,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17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광주 학동4구역 재개발 철거사업 비리에 연루된 문흥식 회장이 석달째 해외 도피 중인 가운데, 내홍이 가라앉지 않은 구속부상자회 회장 해임건이 통과됐다가 다시 기각되는 등 지역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드는 회원들 간 분열이 반복됐기 때문이다.
6일 5·18 구속부상자회에 따르면 지난 4일 열린 임시총회에서 문 회장 해임 안건을 찬성 170표, 반대 10표, 기권 2표로 통과시켰다. 이어 진행된 신임 회장직 선출 안건에서는 참석 회원 182명 중 찬성 179명, 반대 3명으로 조규연 수석부회장을 회장으로 임명했다.
이날 임시총회는 문흥식씨가 학동 참사 이후 해외로 도피한 이후 같은 안건으로 6월12일, 6월26일에 이어 세 번째로 열린 것으로, 문씨는 앞서 두번의 임시총회에서도 해임이 의결됐으나 번번히 구속부상자회 회원들 간 분열로 무효로 돌아갔다.
문흥식 회장 집행부를 옹호하는 일부 회원들이 절차를 하자를 주장하며 법원에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냈고 법원이 문씨 측 손을 들어줬기 때문이다.
신임 조 회장도 두 번째 임시총회에서 회장으로 선출됐으나 법원의 가처분 신청 인용 결정으로 직무가 정지됐다가 세 번째 임시총회를 통해 다시 회장으로 뽑혔다.
이번 임시총회 역시 문씨 측이 개최 금지를 해달라고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냈지만, 이번에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하지만 문씨 측은 또 다시 임시총회 결과를 무효로 해달라는 가처분 신청을 낼 것으로 알려졌다.
이영주기자 lyj2578@mdilbo.com
-
12월 이달의 5·18민주유공자, 간첩 오인에 대검 찔린 故 김형진씨 선정 국립5·18민주묘지관리소는 12월 이달의 5·18민주유공자로 고 김형진씨를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1951년 7월 나주에서 태어난 고 김형진씨는 1980년 5월 23일 항쟁 당시 행상을 마치고 집으로 가던 길에 계엄군의 대검에 찔렸다.이후 병원으로 옮겨진 고 김형진씨는 폐절제술을 받고 갈비뼈를 드러냈으나 휴유증을 앓다 합병증으로 1982년 11월 만 31세의 나이로 눈을 감았다.고 김형진씨의 경우 5·18 희생자 중 유일하게 가해자가 밝혀진 사례다. 당시 고 김형진씨를 대검으로 찌른 계엄군은 간첩으로 착각해 찔렀다고 진술했다.국립5·18민주묘지관리소 관계자는 "이달의 5·18민주유공자 고 김형진씨는 제1묘역 2-99번에 잠들어 계시며 민주묘지를 방문하시면 언제든지 참배를 할 수 있다"며 "민주주의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을 추모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열심히 노력하겠다"고 말했다.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 황일봉 5·18부상자회장 "남구청장 재임 시절 정율성 사업 추진 반성"
- · 法 "황일봉 5·18부상자회장 직위해제 권한 없어"
- · 5·18 가짜뉴스 접한 청소년 줄었다
- · 말려도 강행할 땐 언제고···'대국민 공동선언' 폐기 논란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