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야제 시민 99명만 초청
코로나 확산 여파 행사 축소
연극·음악 등 공연 중심으로
행사위, 6일 상세 일정 발표
올해 41주년 5·18민주화운동 전야제에는 초청받은 시민 99명만이 참석할 수 있을 전망이다.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인해 기존 시민 300명 참석으로 기획됐던 행사가 축소되고 민중대회, 대행진 등이 취소되는 등 공연 중심 행사로 축소 기획됐기 때문이다.
2일 제41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 등에 따르면 오는 17일 오후 7시30분부터 10시까지 5·18 민주광장 등 일대에서 전야제가 개최된다.
지난해 40주년 행사는 코로나19 여파로 취소됐지만 올해는 규모를 축소하더라도 광장 한쪽에 무대를 설치해 다양한 문화예술 공연을 하는 것으로 전야제를 기획했다.
41주년 전야제는 5·18풍물단이 금남로 일대를 돌며 공연을 한 뒤, 민주광장에서 '연대의 장', '항쟁의 장', '계승의 장' 등 3부에 걸친 연극, 민중음악, 퓨전 국악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12팀이 차례로 선보인다.
모든 행사는 온라인 생중계로 송출돼 행사에 참여하지 못한 시민들은 온라인으로 공연을 즐길 수 있다.
민주광장 분수대 주변에는 17일부터 청년 작가들이 '오월의 꿈'을 주제로 설치작품을 전시한다. 희생자 묘비석을 상징하는 조형물 속에 작가들이 자신만의 오브제를 설치한다.
다만 '전야제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민주평화대행진, 민중대회 등 메인 행사들은 취소됐다. 행사장에도 사회적거리두기를 감안해 미리 초청받은 시민 99명만 참석할 수 있다.
행사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이 포함된 구체적인 전야제 행사 계획을 오는 6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최종 발표할 예정이다.
코로나19 여파로 주요행사 상당수가 취소되거나 축소됐지만 80년 5월 광주를 추모하는 일부 특별한 행사들은 차분하게 진행된다.
전야제에 앞서 어린이 날인 5일 5·18민주묘지에서 당시 계엄군 총탄에 목숨을 잃은 초등학생 고 전재수 군의 묘비 제막식이 열린다.
사진 한 장이 남아있지 않아 그동안 전 군의 묘비에는 사진 대신 무궁화가 그려져 있었다. 하지만 최근 가족이 물품을 정리하면서 전 군의 사진을 발견해 이날 제막식을 통해 묘비에 전 군 얼굴을 새길 수 있게 됐다.
7일에는 옛 전남도청에서 5·18 당시 외신기자로 활동했던 노먼소프의 기증자료 전시전이, 10일에는 세계인권기록물 전국순회 전시회가 열린다.
한편 5·18민주화운동 41주기가 보름 앞으로 다가오면서 추모 분위기도 고조되고 있다. 휴일인 이날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는 참배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묘지를 직접 참배하지 못한 시민들도 홈페이지에 마련된 5·18민주묘지 누리집 참배란에 추모글을 올리며 오월 영령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렸다.
임장현기자 locco@srb.co.kr
-
[영상] 전남농협 양파냉해 피해지역 농가일손돕기 "애타는 농심… 조금이라도 힘 보태야죠"농협전남본부와 무안군지부가 함께하는 양파냉해 피해지역 농가일손돕기가 7일 무안군 운남면 양파밭에서 열렸다. 이날 박종탁 농협중앙회 전남본부장과 이석채 운남농협조합장, 김해종 농협 무안군지부장 등 직원들이 일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농가들을 위해 양파 줄기 자르기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임정옥기자 joi5605@mdilbo.com
- · [영상]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3차 발사 기다리는 관람객
- · [영상] 광산구 제1회 세계고려인 대회
- · [영상] 오월 정신 계승, 주먹밥 나눔
- · [영상] 볼거리와 즐길 거리 넘치는 '양림 예술마켓' 버스킹 군무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