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용역결과 토대로 점검 예정
"책임감 있게 검토해 지속성 갖추길"

"정치인들도 연예인들도 광주에 오면 들르는 곳들이잖아요. 5·18이 광주정신이라고 항상 말했으면서 이렇게 틀린 부분이 많다는 건 이해할 수 없네요"
5·18 자유공원을 살피던 노모(28)씨는 안내판 이곳저곳의 글자를 가리키며 눈살을 찌푸렸다.
5·18민주화운동 41주년이 2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사적지 이곳저곳에서 비문과 오타가 발견돼 정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시민들은 설치 당시 최소한의 검토도 하지 않은 것 아니냐며 불만을 표시했다.

현재 광주에는 총 29호의 5·18 사적지가 있다. 광주시는 1998년께 사적지를 지정하면서 과거의 참상을 설명하기 위한 동그란 표지석을 함께 설치했다. 2016년경에는 오월길 조성사업을 진행하며 간략한 설명을 담은 안내문을 추가했다.
표지석과 안내문에 적힌 것은 다섯 문장도 채 안되는 짧은 글귀다. 그러나 이곳에는 상당수의 비문과 오류가 눈에 띄었다.
사적지 제2호로 지정된 북구 중흥동 광주역광장 안내문에는 '공방전이 벌여졌던'이라고 맞춤법이 틀린 글귀가 적혀있었다. 사적지 제19호인 양동시장 표지석은 '이곳(복개상가) 양동시장은'이라는 잘 쓰지 않는 글의 형태로 시작했다. 문장구조나 띄어쓰기 등이 맞지 않은 경우는 더욱 많았다.

현재 광주시청 홈페이지에 등재된 5·18 사적지 설명은 안내문 등에 적힌 어색한 문장들이 모두 수정된 채 업로드돼 있다. 이에 시민 고모(29)씨는 "표지석에 틀린 부분이 있다는 걸 알면서도 모른 척 넘어가려 했던 것 아니냐"며 분노했다.
광주시가 5·18민주화운동 당시 상무대 법정·영창 등을 복원해 전시관으로 사용하고 있는 5·18 자유공원에서는 더욱 많은 오류가 발견된다. 입구의 안내문과 마당의 조형물에는 각각 중점이 빠진 '518자유공원'이라는 표기와 맞춤법에 맞지 않는 '얼차레'라는 글자가 있다. 전시관 내·외에도 받침이 빠지거나 뒤바뀐 설명들이 남아있다.
29일 5·18 자유공원 측 관계자는 "오래 전에 설치된 안내문의 경우에는 설치경위 등이 잘 파악되지 않는다"며 "현재 '사태'를 '민주화운동'으로 바꾸는 등 시대변화에 부적절한 표현을 바꾸는 사업을 진행중인만큼, 추가로 접수된 오탈자에 대해서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시 5·18 선양과 관계자는 "전일빌딩이나 고 홍남순 변호사 가옥처럼 비교적 최근에 등재된 사적지는 여러번 검수를 받아 문구를 등재했다"며 "오래 전에 설치된 안내문 등에 남아있는 오탈자나, 시대상황에 맞지 않은 글들은 검토 과정에 있다. 오는 8월 수정사항에 대한 용역결과가 나오면 그를 기반으로 수정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안혜림기자 wforest@srb.co.kr
-
5·18기념재단 "오월 갈등 해결 위해 시민 참여 공론의 장 만들어야" 31일 오전 5·18기념재단이 광주 서구 쌍촌동 5·18기념문화센터 오월기억저장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민 참여 공론의 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양광삼기자 ygs02@mdilbo.com 5·18기념재단이 ㈔대한민국 특전사 동지회와 화합의 행보를 걷고 있는 일부 5·18 공법단체(부상자회·공로자회)와 광주·전남 시민사회단체간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는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공론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재단은 31일 광주 서구 쌍촌동 5·18기념문화센터 오월기억저장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43년 동안 5월단체와 시민사회단체가 이렇게 큰 갈등을 겪은 적이 없었다"며 이같이 말했다.재단은 "특전사에 대한 광주 시민의 정서는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다. 진정한 사죄를 비롯한 시민과 함께하는 용서가 있어야 한다"며 "특전사 동지회와 화해, 용서했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책임이 있는 가해 당사자 집단이 구체적으로 사죄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이어 "소모적이고 적대적인 갈등과 분열을 해소하고 5·18 정신의 계승을 위해 새로운 방향 모색이 절실한 시점이다. 광주 문제 해결을 위한 5대 원칙(진상규명·책임자처벌·배상·명예 회복·정신 계승을 위한 기념사업)에 대한 재검토와 새로운 기준을 설정해야 한다"며 "5월단체 중심에서 각계각층의 개인으로 참여 주체를 다양화하고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모두가 주체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조진태 재단 상임이사는 "진실과 책임, 주체에 대해 논의를 해나갈 시민 참여 공론의 장을 제안한다. 재단은 적극적으로 환경을 만들고 장을 조성하는 등 마중물 역할을 해나갈 것이다"며 "시민 참여의 장을 통해 시민들의 의견을 듣고 두 공법단체를 설득해 나가겠다. 오월 갈등이 해결될 때까지 광주 시민들의 의견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두 공법단체에게 인지시키겠다"고 말했다.앞서 재단은 지난 12일 광주 동구 전일빌딩245 NGO센터 회의실에서 두 공법단체와 대책위를 초청해 비공개 간담회를 열고 한 차례 타협을 추진한 바 있다.하지만 당시에도 부상자회와 공로자회는 공동선언식의 당위성만을, 대책위는 공동선언문 폐기와 진정한 사과를 촉구하며 서로의 주장만을 반복하며 입장 차이만 확인했다.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 행진·전시·공연 등 '다채'···의향으로 금남로 꽉 찬다
- ·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만이 근본적 해결책
- · 5.18 최후 항전지 원형 그대로, 8월 첫삽 뜬다
- · 유치원생부터 정치인까지 "희생에 감사"··· 오월영령 추모 열기 고조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