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부 쿠데타에 저항하고 있는 국내 미얀마인들이 광주에 모여 광주와의 연대, 고국에 대한 지지와 지원을 다짐했다. 광주시민사회와 재한 미얀마 단체가 23일 5·18민주화운동의 현장인 금남로 '전일빌딩 245'에서 연석회의 '미얀마를 위한 오월행동'을 갖고 '재한 미얀마 단체 결의문'을 채택했다.
이들은 결의문에서 "오월 영령들의 희생으로 오늘날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에서 민주주의 국가로 당당히 서고 있다. 미얀마에서 민주주의와 인권이 살아 숨 쉴 수 있도록 끝까지 싸워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와함께 미얀마 민주진영 국민통합정부가 국제사회에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군부가 물러설 때까지 지원할 것을 결의했다. 또 미얀마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희생된 현지 시민들과 파업 중인 공무원에 대한 지원도 다짐했다.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가 제41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행사와 연계해 마련한 이번 회의에는 전국 8개 미얀마단체 대표단과 관계자들이 함께했다. 이들은 '오월 주먹밥'을 함께 하며 공동 집회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이들은 "이번 회의가 한국에 흩어져 있는 미얀마 단체들이 단합하는 계기도 됐다. 광주는 민주주의 성지다. 이곳에서 큰 힘을 얻었다"고 밝혔다.
고국에서 벌어지는 민주화운동에 지지를 보내는 재한 미얀마인들과 광주시민들의 따듯한 마음이 국제사회로 확장되길 기대한다. 41년전 광주의 애끓는 기다림과 좌절이 다시는 지구상에 나타나지 않아야한다. 허나 미얀마 군부에 대한 원론적인 권고만 있고 양민학살에 대한 국제사회 제재소식은 요원하다.
냉엄한 현실에도 자신들의 고통에 머물지 않고 이웃 국제사회에 손을 내민 광주시민들의 위대한 연대에 박수를 더한다. 광주시민들은 미얀마 민주화운동 초기부터 물리적·심리적 연대를 선언해왔고 광주시는 이용섭시장이 공동의장을 맡고 있는 '세계지방정부연합 인권위원회'가 미얀마 민주화운동지지 공동성명서를 발표하도록 하는 등 광주사회가 모두 나서 함께 해왔다. 세계가 광주에 주목하는 또 다른 이유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