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B형 14세대 모집에 2순위까지 포함 8명 접수
“저렴한 분양가였지만 입지 조건서 희비 교차”

광주민간공원 특례사업 중 네 번째로 분양에 나선 운암산공원 '우미린 리버포레'가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왔지만 일부세대의 경우 청약 미달을 피하지 못했다.
최근 첨단 3 지구 분양에 이어 올해 남은 기간 동안 대형단지 분양이 잇따라 예고되고 있는 상황 속에 실수요층들의 선택지가 넓어지면서 수요가 분산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15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 11일과 12일 1·2순위 청약을 실시한 '운암산 우미린 리버포레'의 경우 548세대 모집에 2천524명이 접수, 4.6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가장 인기가 좋은 84㎡A형(33평형)은 72세대 모집에 1순위 해당지역 청약자만 983명이 접수하면서 '13.65'의 높은 경쟁률로 1순위서 청약이 마감됐다.
84㎡B형과 84㎡C형, 84㎡D형은 각각 '3.61','2.33','3.04'등의 경쟁률을 보이며 '국민평형'에 대한 선호도가 여전히 높음을 보여줬다.
하지만 94㎡형(36평형)의 경우 A형을 제외한 B형과 C형에서 청약 미달을 피하지 못했다.
11세대를 공급하는 B형은 1순위서 9명만 접수하면서 미달됐지만 2순위서 9명이 접수하면서 최종 미달은 피할 수 있었지만 14세대를 공급하는 C형은 1·2순위를 모두 포함해 8명만 접수해 청약 미달로 접수가 마무리됐다.
올 들어 분양한 민간공원특례사업 중 '청약 미달'로 이어진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위파크 마륵공원이나 위파크 더 센트럴의 경우 공급 유형별로 경쟁률이 최소 '1.88'을 기록한 적은 있지만 최소 경쟁률 기준인 '1'은 넘지 못한 적은 없었다.
특히 우미린 리버포레의 경우 최근 광주지역 분양가가 '2천만원'을 넘어선 데 비해 '1천600만원' 대의 저렴한 분양가였음을 감안할 때 일부 유형의 '청약 미달'은 '다소 뜻밖의 결과'라는 평가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우미린 리버포레 분양결과에 대해 '전반적으로 선방했다'고는 하지만 입지조건 면에서 젊은 층의 선택을 받지 못하면서 일부 '청약 미달'로 이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주변 상권과 학군 자체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았다는 등 입지조건면에서 그리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이야기가 꾸준히 나왔다는 점에서 초·중·중 등 자녀를 둔 수요층들이 선택하기에는 애매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 비슷한 시기에 첨단 3 지구 분양이 있었던 데다 올해 안에 분양이 예정된 중외공원(힐스테이트·2천460세대)과 생활권이 겹치는 부분에서 수요층 역시 분산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한 부동산 관계자는 "최근 아파트청약의 경우 투자보다 실수요층의 수요가 주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파이는 한정돼 있다고 봐야 한다"며 "대부분의 수요층들에겐 자신들이 원하는 아파트로 가고자 하는 심리가 있기에 앞으로도 일종의 옥석 가리기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밀어내기 분양 예고 속 광주도 '민간공원' 4천세대 분양할까 광주 도심 전경. 분양 비수기로 불리는 12월을 맞아 전국적으로 밀어내기 분양이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광주에서도 그동안 물망에 오르내렸던 '민간공원' 사업이 속속 분양에 나설지 관심을 모은다.현재 거론되는 있는 공원들마다 1천 세대 이상의 대단지로 올해 중으로 분양에 나설 경우 한 달 만에 올해 전체 물량의 70% 수준인 4천여 세대가 시장에 공급되는 셈이다.28일 지역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현재 12월 중 분양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곳은 위파크 일곡공원(903세대), 힐스테이트 중외공원 2·3 BL(1천466세대), 송암공원 중흥 S클래스&에스케이뷰(1천575세대) 등 3천944세대에 이른다.지난 1월부터 11월까지 광주지역 분양은 15개 사업 5천608세대였다는 점에서 3개 사업의 분양 규모는 전체 물량의 70.32%를 차지하는 수준이다.특히 이번에 물망에 오르는 분양 아파트들의 경우 모두 '민간공원 특례사업'으로 추진되는 1천 세대 이상의 대규모 단지로 이 중 일부 사업은 그동안 시민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아오기도 했다.하지만 현장에서는 실질적인 분양이 이뤄질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확신하지 못하는 분위기다.일곡공원의 경우 지난 10월부터 분양 소식이 들려왔지만 실질적인 분양으로 이뤄지지 않는 등 3개 사업 모두 12월 분양이 아닌 내년으로 미뤄진 것 아니냐는 반응도 나온다.하지만 3곳 모두 모델하우스 준비를 마치는 등 사실상 청약 준비를 모두 완료했다는 점에서 시기를 조절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실질적인 분양에 앞서 업체 간 일정 조정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특히 중외공원과 일곡공원의 경우 생활권이 중복되는 경향이 크다는 점에서 분양 일정이 겹칠 경우 분양 결과가 수요층 중복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또 현재 분양시장 자체가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상 등의 여파로 인해 대출에 대한 부담감이 큰 데다 분양가격 역시 쉽게 받아들일 수 있을 만큼 낮은 가격이 아니라는 점에서 분양가와 금리 역시 분양 성패를 가르는 요소가 될 것으로 봤다.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일곡공원 등 이번에 분양 대기에 나선 민간공원의 경우 이미 분양 준비를 모두 끝낸 것으로 알고 있다"며 "업체마다 분양이 늦어지면 늦어질수록 금융부담이 커진다는 점에서 분양을 마냥 미룰 수 있는 상황은 아니기에 조만간 분양에 들어가지 않을까 싶다"고 전망했다.최현웅 사랑방부동산 팀장은 "한꺼번에 분양이 이뤄질 경우 미분양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민간공원 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는 점에서 서로 간의 최상의 결과를 이끌어내기 위해선 업체들 간 일정에 대한 고민도 깊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 청약통장 감소세 속 광주지역 2순위 가입자 증가 왜?
- · 광주 민간아파트 ㎡당 546만원···전국 평균 웃돌아
- · 광주·전남 지역거주자 주택소유 비중 전년보다 줄었다
- · 광주서 첫 역전세 대규모 보증사고 현실화 "대책 마련 시급"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