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소규모 프리미엄 아파트외
대규모 단지선 역대 최고가 경신
“전례에 없던 일…결과 나와봐야”

전국적으로 부동산 경기가 여전히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광주에서 역대 최고가인 '평당 3천만 원대'의 아파트 분양 성적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극심한 분양시장 침체로 광주지역 아파트들의 상당수가 분양을 미루거나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대 최고가 아파트가 어떤 성적표를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향후 분양 예정 아파트들의 행보가 정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26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상무센트럴 자이는 내달 5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7일 1순위, 8일 2순위 청약을 실시한다.
지하 3층~지상 최고 30층 14개 동, 전용면적 84~247㎡ 903세대로 조성되는 상무센트럴 자이는 '프리미엄' 아파트다.
가장 작은 평형이 34평인 중대형 규모인 상무센트럴 자이는 광주 최고급 아파트를 표명하는 만큼 각종 편의시설도 역대급이다.
단지 지상 30층(108동)에 위치한 입주민 전용 스카이라운지를 통해 입주민들은 광주시가지와 무등산의 경관을 파노라마뷰로 감상할 수 있다. 또 광주 최초로 입주민 전용 프리미엄 상영관 'CGV SALON'과 프리미엄 운동기구가 배치된 피트니스센터, 전 타석 스크린 장비 GDR로 즐기는 실내골프연습장, 사우나 등도 들어선다.
단지 내에 들어서는 '작은 도서관'은 교보문고와 협약을 통해 엄선된 서적을 큐레이션 해준다. SPC그룹이 운영하는 카페테리아에서는 자이만의 스페셜 커피와 티를 즐길 수 있다. 여기에 게스트하우스는 가족단위 방문객도 쉬어갈 수 있는 투룸 게스트하우스를 비롯한 세 가지 타입으로 마련돼 파티룸, 레지던스룸 등으로 활용 가능하다.
분양가 역시 각종 옵션을 포함하게 되면 평당(3.3㎡) 가격은 3천만 원 선에 이른다.
가장 많은 세대를 분양하는 84A~D형(32평·438세대)의 분양가는 8억 9천900만 원에서 9억 2천800만 원선이지만 옵션가격이 4천만 원대라는 점에서 최소 9억 4천만 원에서 9억 7천만 원에 달하고 있다.
가장 넓은 규모인 247형(93평형)은 옵션을 제외한 분양가격만 29억 1천800만 원으로 각종 옵션 포함 시 30억 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가격은 광주지역 민간 아파트 평균 분양가(1천667만 원)보다 1천300~1천400만 원가량 비싼 편이다.
일부 대형평수의 소규모 프리미엄 아파트를 제외하고는 3천만 원대 분양가를 기록한 적이 없는 데다, 1천 세대에 육박하는 대규모 단지 중에서는 '역대 최고가'다.
시민들 사이에서도 상무센트럴 자이의 분양가를 두고 '말도 안 되는 가격'이라며 부정적인 의견이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 역시 이 같은 '최고가 아파트'가 어떤 성적을 거둘 것인지에 대해 쉽게 예측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최소 10억 원에서 최대 30억 원의 분양가를 감당할 수 있는 수요층이 얼마나 될 수 있겠냐는 회의적인 목소리도 나오지만 '일반 수요층이 아닌 저 가격을 감당할 수 있을만한 재력'을 갖춘 수요층을 타깃층으로 삼은 것으로 봐야 한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즉, 결과를 봐야만 알 수 있다는 의미다.
최현웅 사랑방부동산 팀장은 "이런 정도의, 이런 규모의 프리미엄급 아파트는 그동안 광주에서 전례가 없었다"며 "현재와 같은 부동산 시장에서 상무센트럴 자이가 어떤 결과를 얻을지 귀추가 주목된다"라고 말했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광주지역 상가 입주물량 4년만에 소폭 반등 부동산R114 제공 광주지역 상가 입주물량이 4년만에 반등한 것으로 조사됐다.5일 부동산R114가 자사 상업용 부동산 솔루션 RCS(Realestate Commercial Solution)에 따르면 2023년 광주지역 입주상가는 422개로 지난해 (287개)와 비교해 47.03%(135개) 늘어났다.그동안 광주 상가는 코로나19에 직격탄을 맞았다. 2019년 628개였던 입주물량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작된 2020년에는 569개, 2021년에는 470개, 2022년에는 287개로 3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실내마스크 전면 해제로 인한 일상 회복이 돌아오면서 상가 입주도 늘어난 것으로 보여진다.이같은 현상은 수도권을 제외한 대부분 지방이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수도권은 지난해 2만7천331개에서 올해 2만 477개로, 지방은 지난해 7천183개에서 올해 9천8개로 집계됐다. 수도권은 지난해부터 입주물량이 늘어난 탓해 올해 감소했지만, 지방은 올해 들어서야 입주상가 수가 25% 늘었다.반면에 코로나 기간 입주물량이 늘었던 전남은 올해 크게 줄었다. 전남 입주물량은 2019년 364개, 2020년 386개, 2021년 445개, 2022년 547개로 늘어나다가 올해 156개에 그쳤다.이밖에 전국에서는 비중이 큰 수도권의 영향을 받아 지난해 3만4천514개에서 올해 2만9천485개로 줄었다. 유형별로는 근린상가의 입주물량이 전국 1만 464개로 가장 많다. 이어 주상복합상가 5천529개, 단지내상가 5천253개 등 올해 입주상가의 72.1%가 주거지 수요를 배후에 둔 상가로 조사됐다. 최근 주택시장의 미분양 문제가 배후지 상가의 장기 공실 리스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오피스 및 지식산업센터 등 업무시설을 낀 상가 입주물량의 경우, 사업체가 집중된 수도권이 5천363개(오피스상가 3천283개, 지식산업센터상가 2천80개)로 지방 666개(오피스상가 361개, 지식산업센터상가 305개)에 비해 8배 많았다.부동산R114는 "마스크 착용 의무 완화 및 관광수요 확대 등 유동인구가 늘면서 올해 들어 대표상권 위주로 공실률이 소폭 감소했다. 하지만 경기부진으로 소비 확대에 한계가 있는 데다, 고물가 및 가계부채 상환 등 자영업 경영 여건 악화로 임대료 인상도 쉽지 않고 여기에 자산가치가 하락하면서 투자수익률도 낮아진 상태다"며 "지금처럼 경기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시기에는 안정된 상권 내 우량 상가에 투자 쏠림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고분양가 및 대출이자 부담이 큰 신규 상가에 대한 관심이 낮아지면서, 공급 부담이 크거나 유동인구 확보가 제한되는 지역 내 상가는 외면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 [카드뉴스] 전세사기 피하는 전세계약 체크리스트
- · 광주 아파트 수급지수, 90선 앞두고 '주춤'
- · 극심한 침체기 속 낙찰가율도 계속 하락
- · [오늘의 뉴스] 광주 조정대상지역 전격 해제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