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근린공원 1지구 민간사업시행자인 빛고을중앙공원개발(주)은 광주시 서구 쌍촌동에 위치한 중앙공원(1지구) 공원시설 '우선시공분 공사'를 오는 30일부터 시작한다고 25일 밝혔다.
총면적 243만5천516㎡ 규모인 중앙공원의 1지구 공원시설은 224만59㎡(약 92%)로 전체면적으로 92%에 달한다.
철거 및 폐기물 처리를 하는 이번 '우선시공분 공사'를 시작으로 약 40개월 동안 전체적인 공사가 진행될 계획이다.
현재 중앙공원(1지구) 공원시설 내에는 약 4만여 톤 규모의 처리할 폐기물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빛고을중앙개발 측은 철거 및 폐기물 처리 공사 중 추가로 파악되는 사안이 발생하는 경우 '우선시공분 공사'는 당초 4개월에서 6개월까지 연장해 추진할 예정이다.

또 빛고을중앙공원개발은 쌍촌동 어울림공원 부지를 시작으로 각처에 산재해 있는 시설물의 철거와 폐기물 처리에 따라 안전팬스 설치 등의 조치를 예고했다.
당장 공원 이용을 전면 폐쇄하지는 않지만 부분적으로 산책길 접근 차단이 이뤄진다.
아울러 이번 공사에는 소나무 재선충 방재사업(벌목 등), 석면처리 작업 등 시민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이 병행된다.
빛고을중앙개발 관계자는 "우선시공분 공사' 개시는 중앙공원이 1975년 공원시설로 지정된 뒤, 사실상 방치되었다가 본래의 기능을 찾는 첫걸음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우선시공분 공사가 마무리된 공간에는 공원조성을 위한 본공사가 본격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빛고을중앙개발 측은 철거된 공원시설 부지에 또 다시 불법 경작 등 공사 방해행위에 대한 시민들의 제보가 있을 경우 신고자에게 포상금을 지급한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광주아파트 가격 63주만에 상승 반전 2023년 9월 3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한국부동산원 제공 광주 아파트 매매가격이 1년 3개월여만에 상승전환했다. 1년여 동안 하락세를 보였던 부동산 가격이 반등할 지 관심이 쏠린다.최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3년 9월 3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광주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대비 0.02% 올랐다. 이로써 광주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해 7월 1주 이후 63주만에 추세가 전환됐다.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9%) 대비 상승폭 확대되는 등 최근 전국 곳곳에서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수도권(0.15%→0.17%)은 상승폭 확대, 서울(0.13%→0.12%)은 상승폭 축소, 지방(0.04%→0.04%)은 상승폭 유지됐다.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28→133개) 및 보합 지역(11→12개)은 증가, 하락 지역(37→31개)은 감소했다.시도별로는 경기(0.21%), 세종(0.20%), 서울(0.12%), 인천(0.11%), 대전(0.10%), 경북(0.10%), 강원(0.09%) 등은 상승했고, 전남(-0.03%), 제주(-0.02%), 부산(-0.01%)은 하락했다.광주 5개구 중에서는 서구(-0.01%)와 북구(-0.01%)를 제외한 동구(0.09%), 남구(0.09%), 광산구(0.04%)는 상승했다.가장 먼저 반등한 광산구는 5주 동안 4차례 상승과 1차례 보합을 보였고, 동구는 3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고, 남구는 하락장 이후 처음으로 반등에 성공했다. 서구는 3주전 첫 반등 이후 2주 연속 하락했고, 북구는 아직도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반면에 전남은 아직 상승전환 하지 못했다.전남 아파트 매매가격은 2022년 2월 1주 이후 85주째 하락세를 유지 중이다. 무안군(0.02%), 순천시(0.04%)가 상승했지만, 나주시, 광양시가 보합을 보인 가운데 목포시(-0.09%), 여수시(-0.11%)가 하락을 주도하고 있어 반등에 실패했다.아파트 매매가격이 광주를 비롯한 전국 곳곳에서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어 앞으로 어떻게 움직일지 주목된다.광주지역 아파트는 올해 8월 4주 이후 처음으로 전세가격 하락이 멈춘데 이어 9월들어 매매가격이 2주 연속 보합을 형성하더니 처음으로 반등했다.최현웅 사랑방부동산 팀장은 "최근 실거래가 하락거래보단 상승거래가 근소하게 많아 당분간 지금의 회복 흐름은 유지될 것 같다"며 "다만 최근 매도 물량이 늘어나며 적체 중인 것과, 대출 정책이 이전보다 까다로워진 것은 회복을 방해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 LH, 곡성에 공공임대주택 120호 공급
- · '민간공원' 우미린 청약 선방했지만···일부평형 '청약 미달'
- · 한양 "억울하게 뺏긴 권리 회복시켜달라"
- · 안도걸경제연구소 "무주택자 등 주택구매에 신중할 때"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