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원 최고 등 잇딴 ‘5·18망언’ 여파
‘서진정책’ 퇴색 우려…내년 총선 우려
천하람 “국힘, 국민 눈높이에 맞춰야”

최근 '친윤·강성 보수' 색채를 띠는 김기현호(號)가 출범한 데 이어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의 '5·18정신' 헌법 수록 불가 발언으로 지난 대선을 전후로 여당 지도부가 공을 들였던 '서진정책'이 무위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다.
여권의 계속되는 '우클릭'으로 호남 민심은 물론 내년 총선 캐스팅보트를 쥐고 있는 중도층 이탈까지 우려되면서 국민의힘 총선 전선에 먹구름이 짙어지고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국민의힘은 2020년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무릎 사과' 이후 호남 민심을 끌어안겠다는 이른바 '서진정책'에 박차를 가했다. 이어 이준석 전 당대표도 '서진정책'을 주창하면서 수년간 호남 민심을 두드렸다. 이 영향으로 지난 대선 때 윤석열 대통령이 호남에서 보수정권 최다 득표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김기현 당 대표 체제로 새롭게 출발한 국민의힘이 시작부터 극우 본색을 드러내면서 그동안 추진했던 '서진정책'이 물거품이 됐다는 탄식이 나오고 있다.
지난 12일 김 최고위원이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가 주관하는 주일예배에 참석해 5·18민주화운동 정신을 헌법에 수록할 수 없다고 말한 데 이어 다음날 국민의힘 추천으로 임명된 김광동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 위원장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5·18민주화운동에 북한이 개입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발언하면서 논란의 불씨를 키웠다. 그동안 국민의힘이 5·18민주화운동에 대해 보여준 전향적인 태도의 진정성이 사라져버린 셈이다.
이처럼 국민의힘이 새지도부 출범 초반부터 시대착오적인 이념 공세를 펼치면서 호남 지역 내 비난 여론이 들끓고 있다. 호남 지역의 민심을 잃는 것은 단순히 광주·전남 민심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서울·수도권에 살고 있는 '호남 출향민'들과도 연관이 되는 만큼 내년 총선에서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당내 일각에서는 비판과 자성의 목소리와 함께 내년 총선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정부가 강성 보수 진영에서 환영할 만한 3·1절 기념사와 일제 강제징용 제3자 변제안을 내놓으면서 중도층의 거부감이 크게 작동한 데 이어 김 최고위원과 김 위원장 발언으로 여권에 다시 한 번 극우적 색채가 덧칠되면서 중도층 이탈까지 우려된다는 것이다.
여권 내 험지로 불리는 지역의 한 국민의힘 당협위원장은 "총선을 1년 앞두고 당의 색이 '극우'쪽으로 가는 것처럼 비춰져 지역은 물론 중도층 민심까지 돌아설 우려가 크다"며 "걱정이 많이 되는 건 사실이지만, 말보다는 정책으로 지역에 결과물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내년 총선은 해볼만 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천하람 국민의힘 순천갑 당협위원장은 "광주·전남 등 격전지에서 국민의힘 소속으로 뛰고 있는 당협위원장들은 답답하고 걱정이 많은 게 사실이다"며 "김종인·이준석 체제 당시 펼친 '서진정책'으로 호남 유권자분들이 조금이나마 당의 노력을 알아봐주셨는데, 이런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송구스러운 마음이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국민의힘이 이제는 과거에 좋지 않은 모습에서 탈피해 민주당과 건강한 경쟁을 하는 쪽으로 가길 기대한다"면서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추고 당내 쓴소리를 막지 말고 다양한 목소리를 들으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예지기자 foresight@mdilbo.com
-
[영상] 전남농협 양파냉해 피해지역 농가일손돕기 "애타는 농심… 조금이라도 힘 보태야죠"농협전남본부와 무안군지부가 함께하는 양파냉해 피해지역 농가일손돕기가 7일 무안군 운남면 양파밭에서 열렸다. 이날 박종탁 농협중앙회 전남본부장과 이석채 운남농협조합장, 김해종 농협 무안군지부장 등 직원들이 일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농가들을 위해 양파 줄기 자르기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임정옥기자 joi5605@mdilbo.com
- · [영상]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3차 발사 기다리는 관람객
- · [영상] 광산구 제1회 세계고려인 대회
- · [영상] 오월 정신 계승, 주먹밥 나눔
- · [영상] 볼거리와 즐길 거리 넘치는 '양림 예술마켓' 버스킹 군무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