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피고 진다'는 원추리
일월비비추, 노루오줌, 흰제비난
지금, 이 여름에만 만날 수 있는
20여종 야생화 지천에 꽃피워
'발아래 구름바다' 노고운해 비경
운조루, 쌍산재, 수락폭포도 명소

지리산은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3개의 도에 걸쳐 있는 산이며 남도의 지붕이다. 남도의 지붕을 이루는 백두대간의 산줄기는 지리산의 만복대(1천433m), 고리봉(1천248m), 종석대(1천361m), 노고단(1천507m), 반야봉(1천751m), 삼도봉(1천501 m)으로 이어지고 천왕봉(1천915.4m)에서 끝을 맺는다. 지리산의 3대 봉우리는 천왕봉, 반야봉, 노고단이다. 지리산은 3대 주봉을 중심으로 마치 병풍처럼 펼쳐져 있다.
필자도 여름이면 자주 지리산을 찾는다. 남도의 산과 계곡에 물이 마를 때 쯤이면 웅장한 지리산의 계곡에는 맑은 물이 사시사철 흐른다. 전라남북도의 경계에 있는 노고단은 산악인이 아니더라도 항상 많은 사람들이 오른다. 남도에서 여름에 산을 오르면서 계곡을 즐길수 있는 산행의 시작점이 지리산의 성삼재 코스이다. 성삼재~노고단~반야봉~토끼봉~명선봉~벽소령~형제봉~덕평봉~칠선봉~촛대봉~연하봉~ 제석봉~ 천왕봉~중산리(33.4㎞)에 이르는 지리산 종주길은 단일 산 능선으로 국내 최장거리이다. 성삼재~노고단~반야봉~뱀사골(19.3㎞)로 향하든가, 성삼재~노고단~임걸령 ~피아골 (18.6㎞)로 내려갈 수 있다.

성삼재휴게소에서 노고단 정상까지는 3.2㎞, 산행 초보자도 넉넉잡고 3~4시간 이면 왕복할 수 있다. 성삼재에서 시작된 산행은 노고단 산장을 거치고, 노고단 고개로 1시간 20여분쯤 오르면 출입통제소가 나타난다. 출입통제소 입구에서 국립공원공단 예약통합시스템(reservation.knps.or.kr)에 접속해 지리산 노고단 탐방예약을 한 후, 생성된 QR코드를 인증하고 20여분 오르면 노고단 정상이다.
노고단에서 일출을 보기 위해 새벽 3시경에 성삼재에 차를 세워 놓고 달빛을 바라보며 산행하거나, 구례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새벽 2시 40분 버스를 타고 성삼재에서 내려, 3시 20분경에 출발하는 새벽 산행은 시원함과 청량감을 주는 힐링산행이다.
노고단 정상에 오르면 지리산의 동쪽 천왕봉쪽에서 떠오르는 일출은 장엄하다.

◆지리산 1경 노고단 운해
노고단은 노고봉이라는 명칭으로 부르지 않는다. 노고단은 제사를 지냈던 터(壇)였으므로 봉(峰)이라는 지명보다는 단(壇)이라는 표현이 적합하다.
노고단의 지명은 지리산 천왕봉의 할미당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천왕봉 기슭에 '할미'에게 산제를 드렸던 할미당이 통일신라시대까지 있었는데, 고려시대에 이곳으로 옮겨져 한자어인 노고단(老姑壇)으로 된 것이다. 노고단이란 늙은 시어머니를 위한 제사터를 말하며 우리 말로는 할미단이라고 한다. 고(姑)는 마고를 뜻하기도 해서 마고 할머니를 위한 제사터라고도 한다.
조선시대에는 현재의 노고단 위치에서 서쪽으로 2㎞ 지점에 있는 종석대(1천361m) 기슭으로 할미당을 옮겨 산제를 드렸다고 전한다. 노고단은 우리나라에서 보기 힘든 아고산대 초원 지대로 기온이 낮고 바람이 많아 키 큰 나무가 잘 자랄 수 없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또 지형적 특성상 바위보다는 흙이 많아 다양한 종류의 야생화가 계절마다 피어나는 곳이다.
8월에 노고단을 오르면 원추리와 야생화가 지천으로 피어 있다. 지리산의 10경은 천왕일출, 피아골 단풍(직전단풍), 노고운해, 반야낙조, 벽소명월, 세석철쭉, 불일현폭, 연하선경, 칠선계곡,섬진청류이다.
이중 3경에 들어가는 노고운해는 노고단 정상 아래 펼쳐지는 '구름바다'가 절경이다. 여름철 노고운해 속에 원추리 꽃이 만발하면 천상의 화원을 이룬다. 또한 노고단에는 원추리, 지리터리풀, 일월비비추, 큰까치수염, 노루오줌, 흰제비난 등 20여종의 야생화가 피어 있다. 지금 노고단 일대는 199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무분별한 야영과 취사행위 등으로 심각한 훼손 상태였으나,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지속적으로 훼손지를 복원하고 특별보호구역 지정·관리 및 탐방예약제를 시행해 예전 모습을 되찾아가고 있다.

◆구례의 핫플레이스 쌍산재와 운조루, 수락폭포
전남 민간정원 5호로 지정된 쌍산재는 tvN의 '윤스테이' 촬영지로 알려지면서 더욱 유명해졌다. 해주 오씨 고택으로, 주인인 오경영씨의 고조부의 호를 따서 쌍산(雙山)이라 명명했다고 한다. 고택 쌍산재의 '쌍산' 의미는 인과 관계인 사람과 사람의 원만한 인연을 의미한다. 한옥과 전통 정원을 거닐며 고풍스러운 맛을 느낀다. 입장료 1만원에, 쌍산재 한옥의 어느곳에서 맛볼수 있는 전통차와 커피 한 잔값이 포함돼 있다. 관람시간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 30분(입장마감 오후4시)까지다.
국가민속문화재 제8호로 지정된 운조루는 조선 영조 52년(1776년) 당시 삼수 부사를 지낸 류이주가 99칸(현존 73칸)으로 지은 품자형의 대규모 저택으로 조선 후기 건축양식을 따르고 있다. 풍수지리에서 금환낙지(金環落地) 명당 터에 위치한 것으로 유명하며 택호는 중국 도연명의 귀거래사에서 따왔다고 한다. 운조루에는 타인능해(他人能解)라는 쌀독을 두어 주위의 배고픈 사람이 쌀을 가져갈 수 있게 하는 나눔의 정신을 실천해 귀감이 되고 있다. 운조루 유물전시관에는 운조루의 역사와 삶의 모습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문화공간으로 150여점의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운조루 유물전시관은 조선 후기부터 구례 오미동에 터를 잡고 살아온 문화 류씨가의 역사와 삶의 모습이 전시된 공간이다. 관람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다. 휴관일은 매주 월요일이다. 이곳에 전시된 유물은 300여년 동안 운조루에 소장되어 온 것으로 운조루 사람들, 풍수지리, 운조루 기록물, 운조루의 생활모습 등의 주제로 나누어 전시하였다.
산동면 소재지인 원촌마을에서 4㎞ 거리인 수기리에 위치한 수락폭포는 하늘에서 은가루가 쏟아지는 듯한 아름다운 풍치를 이룬다. 높이 15m의 폭포로 여름철이면 많은 관광객들이 낙수를 맞으며 더위를 식히는데 신경통, 근육통, 산후통에 효험이 있다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구례 성삼재 교통, 숙소와 맛집
버스 노선은 구례버스터미널~화엄사~성삼재행 하루 5회 왕복 운행한다. 시간은 02:40, 08:20, 10:20, 14:20, 16:20 등으로 약 40분 소요된다. 요금은 5천원이다. 숙박은 구례군에서 운영하는 구례여행 홈체이지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구례에는 산채정식, 버섯전골, 산닭구이, 민물매운탕, 다슬기 수제비, 섬진강 은어 등 맛이 있는 식당들이 많다. 구례 5일시장 안에 이름난 맛집들이 많다. 지리산 오여사식당 들깨국수도 제맛이 있다. 원래 악양 최참판댁에서 '지리산 갑부네'란 식당으로 운영하다가 토지초등학교 맞은편에 지리산 오여사식당으로 오픈, 다시 구례 오일시장에 입주하였다. 국내산 들깨와 우리밀을 재료로 조리한 들깨칼국수는 맛이 고소하고 담백하다. 반찬 세가지가 나오는데 대부분 손수 농사 지은 농산물로 조리하였다. 반찬은 셀프로 반찬통에서 찬기에 가져오면 된다.
천기철 기자 tkt7777@mdilbo.com
-
왔다! 스키의 계절…가자! 겨울왕국으로 아이와 함께 썰매타고 있는 모습. 휘닉스 평창 스노우파크 제공.지난주 전국 곳곳에 첫눈이 내렸다. 어느덧 겨울이 왔다는 소리다. 겨울에 즐길 수 있는 스포츠는 눈썰매, 스케이트 등 다양하지만 그 중 스키가 가장 인기가 많다. 즐길거리, 먹거리 가득한 스키장을 찾아보는 건 어떨까. 이번 주부터 개장하는 전국 스키장들을 소개한다.무주 덕유산리조트 스키장 설경. 무주 덕유산 리조트스키장 제공.구름 뚫고 내려오는 기분 만끽무주 덕유산 리조트스키장전북 무주 덕유산 스키장은 뛰어난 설경을 자랑한다. 덕유산의 탁 트인 경관과 나무에 핀 눈꽃들을 보며 스키를 타다 보면 동심으로 돌아간 듯 하다. 덕유산리조트스키장은 국내 최장거리인 6.1㎞ 슬로프 '실크로드'를 가지고 있다. 실크로드는 난이도가 다양해서 초보자나 중급자가 타면 좋은 코스다. 이곳은 또 설천봉 정상에서 능선을 타고 내려오다 보면 마치 신선이 된 듯 구름 사이를 뚫고 내려오는 듯한 착각을 느낄 수 있다. 이곳은 개장일은 다음달 2일 예정이지만 날씨에 따라 조정될 수 있어 홈페이지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곤돌라를 타고 올라가는 스키인들. 지산포레스트리조트 제공.겨울 스포츠 한곳에서지산포레스트리조트 스키장경기 이천에 자리한 지산포레스트리조트 스키장은 아이와 어른 모두 즐길 수 있어 좋다. 스키를 잘 타는 사람은 슬로프를 즐기고 타지 못하는 사람들은 눈썰매장을 이용하는 걸 추천한다. 겨울 스포츠를 한곳에서 즐길 수 있어 일석이조다. 지산포레스트리조트 스키장은 시간 단위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대부분의 스키장은 종일권 등으로 이뤄졌는데 이곳은 리프트권부터 스키복이나 장비들도 시간 단위로 대여할 수 있어 원하는 만큼 탈 수 있다. 지산포레스트리조트 스키장은 다음달 10일 개장한다.비발디파크 스키장 설경. 소노인터내셔널 제공.계절마다 색다른 재미 선사비발디파크어느 계절이든 사람들로 북적이는 곳이다. 여름에는 워터파크, 겨울에는 스키장으로 유명하다. 스키장에는 다양한 코스들이 있어 초보부터 프로까지 자신의 기량에 맞춰 즐길 수 있다. 스키를 타지 못하는 아이들도 스키교실이 있어서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스키 말고도 썰매를 탈 수 있는 스노위랜드가 있다. 스키장처럼 다양한 썰매장 코스들이 있어 연령대별로 탈 수 있다. 수도권에는 셔틀버스도 운영하고 있어 홈페이지에서 예약해야 한다. 오는 29일 개장한다.정상 몽블랑에서 사진찍고 있다. 휘닉스 평창 스노우파크 제공.최고의 설질로 유명휘닉스 평창 스노우 파크평창올림픽 공식 경기장으로 지정된 이곳은 최고의 설질로 유명하다. 휘닉스 평창 스노우파크는 총 18면의 슬로프 중 6면이 프리스타일 스키, 스노보드 공식 경기장으로 지정돼 스키 마니아에겐 필수코스다. 이곳은 슬로프의 경사가 완만해 초보자들도 쉽게 이용할 수 있어 좋다. 스키장뿐만 아니라 썰매, 눈싸움 등을 할 수 있는 스노우 빌리지가 있다. 타지 못하는 사람들이나 아이들이 함께 즐길 수 있다. 또 정상에는 '몽블랑'이라는 포토존이 있어서 곤돌라를 타고 다녀오는 것도 추천한다. 24일 개장.이경원기자 ahk7550@mdilbo.com
- · 강 따라 숲 따라··· "가을엔 라이딩이지"
- · 깊어가는 가을 축제로 물든다
- · "추석연휴, 광주호 호수생태원서 가을 즐기세요"
- · '여기가 광주였어?' 인기 드라마 속 광주·전남 촬영지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