㉜대구역 <1>달빛동맹 화룡점정

[광주에서 대구까지 미리 달려본 달빛내륙철도] ㉜대구역<1>달빛동맹 화룡점정
'달빛 동맹'은 2013년 3월 광주광역시와 대구광역시가 두 도시 간 협력을 통해 지역감정을 해소하고 상생하기 위해 만든 용어다. 달구벌 대구의 '달'과 빛고을 광주의 '빛' 앞 글자를 따 '달빛 동맹'이라는 정겨운 이름을 탄생시킨 것이다.
달빛 동맹은 영호남 양대 산맥 광주와 대구가 벽을 허물고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의기투합의 시작점이었다. 지역소멸이라는 절체절명의 시기에 두 도시는 현안에 한목소리를 내기 시작했고 달빛 내륙철도 건설이라는 여정에 서로의 힘을 보태기 시작했다. 홍준표 대구시장도 지난달 25일 광주를 방문해 "달빛 내륙 철도는 예비타당성 조사 없이 통과돼야 한다"고 강조해 광주시민들의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이제 달빛 내륙 철도는 달빛 동맹의 핵심이자 동서화합과 발전을 위한 필수 시설로 자리 잡았다.
무등일보는 '미리 가본 달빛 철도 시리즈'의 마지막 종착역 대구시를 찾아 대구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조명해 달빛 내륙철도를 향한 그들의 염원을 전한다.
◆달구벌은 무슨 뜻
대구시는 언제부터인가 '달구벌'로 불렸다. 의미는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달(達)이 '크다, 넓다'는 뜻이고 구(句)는 '언덕', 벌(伐)은 '평야'로 '큰 언덕과 평야'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조선시대 들어서 한자로 표기하면서 대구(大丘)의 구(丘)가 공자의 이름과 같아 같은 뜻을 가진 구(邱)로 바뀌면서 오늘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또 하나는 '달구'를 닭의 방언으로 보는 견해다. 경상도 사투리로 '닭이'를 '달기'라 발음한다. 오늘날에도 대구에서 닭을 '달구 새끼'라고 부르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봐 어느 정도 일리가 있다. 그렇다면 달구벌은 '닭이 많은 평야' 정도로 해석이 가능하다. 이름에서 닭을 연상할 정도로 대구는 정말 닭과 인연이 많은 고장이다.

◆치킨 사업의 성지로 우뚝
최근 KB금융그룹 자영업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치킨집 수는 8만7천여개다. 수나 양으로 봐서 우리 민족에게는 닭고기를 좋아하는 DNA가 따로 있는 듯하다. 그러니 치킨과 맥주라는 환상의 조합을 만들어낸 것도 당연하다. 여기에다 달구벌 대구는 '치느님'이라고 불릴 정도로 치킨 산업의 성지다.
달구벌과 치맥의 인연은 뿌리가 깊다. 1907년 제작된 대구시 전도에 따르면 조선 3대 시장이었던 서문 시장의 3분의 1이 닭 가게였다고 한다. 판매가 활성화되다 보니 대구 주변 도시 양계 사업도 자연적으로 발달했다. 현재도 10만마리 이상 사육하는 양계장이 대구·경북 지역에만 10여개에 달한다. 닭 관련 기업 '맥시칸', '멕시카나', '호식이 두마리 치킨', '땅땅 치킨' 등이 대구에서 사업을 벌인 기업이다. 이것만 봐도 대구가 한국 닭 산업의 메카임을 잘 보여준다.
달구벌 대구는 닭 관련 음식도 발달했다. 닭고기는 물론이고 닭발과 닭모래집, 닭내장 등이 대구를 대표하는 음식 중 하나다. 동구 평화시장은 '닭똥집 골목'으로 알려졌고 수성못 주변 닭 발집, 칠성시장 내 닭 내장볶음도 대구를 대표하는 닭 관련 음식이다. 대구시는 닭과 인연을 세계 최대 닭 잔치로도 연결했다. '대구 치맥 페스티벌'이 그것이다.
대구의 여름은 치맥 페스티벌로 흥이 넘쳐난다. 치맥 페스티벌의 시작은 지난 2013년이다. 치킨과 맥주라는 한국판 먹거리에 달구벌 대구의 지역적 특색이 합쳐져 여름이면 일대 장관이 펼쳐진다. 코로나19 전인 2018년 '대구 치맥 페스티벌에'는 100만명 이상이 참가하는 진풍경이 펼쳐졌다.
◆"치대지 마라! 덥다 아이가"는 옛말
대구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다양하다. 그중에서도 '더위'를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다. 어린 시절 기억으로 대구 여름 날씨는 광주보다 2~3도는 높았다. 1942년 8월1일 대구에서 40℃를 기록한 것이 2017년까지 우리나라 최고 기온이었다. 2018년 강원도 홍천의 41℃에 자리를 내주기 전까지는 여름 최고 기온이라는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 대구가 여름에 더운 것은 산지로 둘러싸인 분지 탓이다. 유난히 덥다 보니 대구시를 '대프리카'로 부르기 시작했다. "아프리카만큼 더운 대구다"라는 의미다.
"치대지 마라. 덥다 아이가"라는 대구 사투리 조형물이 등장할 정도였다. 그러나 그것도 옛말이다. 대구시의 노력으로 대구 여름 날씨는 전국 평균으로 내려왔으니 격세지감이다.

◆도시 품격 높인 신천의 변신
대구를 대프리카에서 해방시킨 1등 공신은 대구 시내를 흐르는 신천이다. '신천(新川)'은 문자 그대로 '새로운 하천'이다. 신천은 비슬산 작은 실개천에서 시작해 총길이 27㎞의 큰 물줄기가 돼 대구 도심을 가른다. 강 주변으로 선사시대 유적부터 삼국시대, 신라, 고려, 조선, 근대 문화 유적을 품고 있어 대구 문화의 중심을 이룬다.
대구시는 20년 전인 지난 2003년부터 신천 정비사업을 시작해 지금은 멸종위기종 수달이 뛰어놀 만큼 깨끗한 새 하천으로 변신시켰다. 대구시는 오는 2030년까지 낙동강 물을 하루 20만t씩 신천에 공급해 수질을 1급수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신천의 변신으로 대구시는 도시의 품격이 한 차원 높아졌다. 용두바위, 바위그늘, 공룡발자국 등 숱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수성못에서 명품 호수의 품격까지 겸비한 대구의 변신은 신천 정비가 가져다준 결과물이다. 수성못은 1925년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조성된 인공 호수다. 신천은 수성못에 하루 1만t의 물을 공급하는 젖줄 노릇을 한다.
신천은 상동교를 기준으로 상류와 중하류로 나뉜다. 상류는 선사시대, 신라시대 유적 등 고문화를 품고 중하류는 잘 정비된 현대적 하천으로 모습을 바꿔 도심을 가른다. 이때 신천은 남북으로 길게 관통하는 바람길로 열섬에 갇힌 대구에 숨통을 틔워준다. 도심을 가른 신천은 팔공산 아래서 금호강과 합류해 낙동강으로 물줄기를 튼다. 그리하여 신천은 대구 문화를 외부로 흘려보내고 또 받아들이는 달구벌 문화의 첨병 역할까지 한 뒤 대장정을 마감하는 것이다.

◆혁신 마인드로 푸른 대구 탄생
대구시는 '대프리카'를 벗어나기 위해 치밀하게 준비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가로수를 심었다. 실제 서울시 가로수가 시민 37명당 1그루인데 비해 대구시는 시민 14명당 1그루일 정도로 많다. 국립산림과학원 자료에 따르면 대구시 플라타너스 한 그루는 15평 에어컨 20대를 네 시간 가동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고 한다. 그 정도면 대구시 가로수는 천연 에어컨인 셈이다.
대구시는 더위에 대처하는 능력도 혁신적이다. 여름이면 대구만의 스마트 그늘막이 펼쳐진다. 그늘막 하나에도 첨단 기술을 접목해 더위를 식힌다. 동대구역 앞 스마트 그늘막은 태양고도를 계산해 그늘막 길이를 자동 조절한다. 여름에 꼭 한번 찾을 일이다. 여기에다 꾸준한 공원 조성과 푸른 옥상 가꾸기 등으로 대프리카 이미지를 벗겨냈다. 1970년 대비 한여름 최고기온이 1.2도가 낮아졌다는 통계도 나와 있다. 대구만의 기발함으로 대프리카는 이제 옛 추억으로 남아 있을 뿐이다.
나윤수 객원기자 nys2510857@mdilbo.com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