㉛고령역<하>대가야시장
3대째 이어온 대장간 대표 볼거리
사람냄새 물씬나는 시장 자랑거리
점필재 후손인 선산 김씨 집성촌
개실마을 중심에 문충공파 종택
범접할 수 없는 역사와 기품 자랑

[광주에서 대구까지 미리 달려본 달빛내륙철도] ㉛고령역<하>대가야시장
역사의 고장 고령은 사람 사는 냄새가 물씬 풍기는 고장이다. 자랑스러운 조상을 지키는 마을이 있는가 하면 정겨운 전통시장과 전통 악기 가야금을 만드는 장인까지 고령에서 만나는 사람들은 서로를 다독이며 역사와 전통을 지켜나가고 있다. 이곳에 사는 사람들을 찾는 길은 역사를 찾아 떠나는 재미와 감동을 진솔하게 보여준다.

◆사람 냄새나는 정겨운 대가야시장
대가야는 철의 왕국이었다. 대가야읍 지산리 '대가야시장'은 철의 왕국 민초들의 삶이 녹아있는 전통시장이다. 대가야시장 오일장(4·9일장)이 열리는 날이면 그 북적거림이 예사롭지 않다. 오랜 전통시장답게 인근 대구에서도 찾는 이들이 많을 정도로 인기 높은 시장이다. 입구에 '아이조아 고령대가야시장'이라는 입간판이 커다랗게 서 있다.
시장에 들어서니 꽤 큰 규모다. 한켠에 '고령 대장간'이 보인다. 3대째 전통 대장간이다. 예전 가야국은 철의 왕국이었다. 철기를 굽던 모습이 그때나 지금이나 여전하다. 타임머신을 타고 예전으로 돌아간 느낌이다. 펄펄 끓는 화덕에서 철을 끄집어내 두드리니 낫이며 호미며 자유자재로 모습을 바꾼다. 망치로 철을 두들기는 모습은 대가야 시대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한때 고령시장 대장간이 6곳이나 있었지만 이제는 한곳밖에 남지 않았다고 하니 사라지기 전에 눈에 담아둘 모습이다.
대가야장은 예부터 제수용품이 유명한 곳이다. 제각각의 표정으로 깎는 재미가 쏠쏠한 시장이다. 단골이 많은 탓인지 사고파는 사람들이 서로 싫지 않은 표정이다. 그래도 최근 물가가 뛰어 상인들도 걱정이 크다고 한다.
시장 바닥은 김장철 새우젓 냄새와 고추장이 어울려 코를 얼큰하게 한다. 고령장 먹거리 소구레 국밥도 그냥 지나칠 수 없는 먹거리다. 소의 가죽살이 소구레다. 최근에는 소구레를 떼어내지 못하게 하면서 소구레가 귀하신 몸이 됐다고 한다. 그래도 선지와 진한 멸치국수의 조합이 대가야시장의 명불허전 소구레 국밥이다.
◆300년 전통 지켜내는 점필재 후예들
고령군 쌍림면 합가리 개실마을은 300년 전통의 기품이 묻어나는 마을이다. 개실마을 찾는 것은 조선시대 전통 가옥에서 즐기는 역사향기 맡기다. 문충공 점필재 김종직의 종택이 있는 마을이다. 김종직 후손들이 집성촌을 이뤄 개실마을을 지켜왔다. 점필재는 조선 초기 정치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사상가요 교육자이며 시인인 영남학파의 거두다. 원래 점필재 김종직이 태어난 곳은 밀양이다. 그러나 조선시대 무오사화(1498년 연산 4년) 때 점필재가 부관참시 당하자 후손들이 뿔뿔이 흩어지면서 일부가 개실마을에 터를 잡아 이곳에 은거했다. 50여가구가 집성촌을 이룬 것이 오늘에 이른다.
개실마을 길은 고샅이 인상적이다. 조선시대 고샅길이어서 외국인 눈에 신비롭게 비쳤는지 외국인들이 남겨 놓은 팻말들이 마을 입구에서부터 깔려 있다. 점필재 종택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맞배집 형태로 김종직 교지 등 유물이 남아 있다. 사당에서는 매년 점필재를 모시는 제사를 지낸다.
종택 가까운 남서쪽에 점필재를 기리는 도연재(道淵齊)도 볼 수 있다. 도연재는 고령 유림들이 김종직의 학문적 뜻을 기리고 유지를 이어받고자 건립한 재실이다. 도연재 앞에는 개실마을 5세 사적비가 있어 이곳이 유교 전통을 이어가는 유서 깊은 마을임을 보여주고 있다.

◆우륵이 살아 숨 쉬는 가얏고 마을
우륵박물관은 가야금 전문 박물관이다. 가야금의 둥근 위판은 하늘을, 평평한 아래판은 땅을 상징한다. 가운데 속이 텅빈 공간은 하늘과 땅의 빈 공간을 뜻한다. 박물관 곁 대가야읍 정정공길에는 우륵의 집이 있다. 악성 우륵은 "낙이 불류 에이 불리 가위정야(樂而 不流 哀而 不悲 可謂正也)"라 했다. 이 말은 우륵의 잡지악에서 나온 말이다. 즉 "즐거우면서도 무절제하지 않고 슬프면서도 비통하지 않으니 정녕 바르다고 할 만하다"는 뜻이다. 중용의 도를 지켜 예술인이 빠지기 쉬운 감정의 넘침을 경계하라는 뜻이다.
정정골길 가야금 마을은 겨울 초입이지만 청아한 가야금 소리가 울린다. 입구부터 '가얏고 카페'가 있어 가얏고 마을에 들어섰음을 느낄 수 있다. 가얏고는 가야금을 달리 이르는 말이다.
마을회관 내에 커다란 12줄짜리 가야금을 만들어 손님을 맞는다. 정정골은 가야금 소리가 정정하게 들리는 곳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가로등도 청사초롱으로 예쁘게 꾸며져 있다.
가얏고 마을회관에서는 가야금도 배울 수 있고 미니 가야금을 만드는 것에도 도전해 볼 수 있다. 정정골은 2007년 살기 좋은 마을 만들기 국가 시범 사업에 선정돼 가얏고 마을로 불리기 시작했다.
"1천 번의 손길로 대가야 혼 불어넣어"
김동환 고령 가야금 명장

"가야금은 5년 건조한 오동나무를 제목으로 200여가지 공정에 1000번의 손길을 거쳐야 깊고 청아한 자연의 소리를 내는 가야금으로 탄생합니다" 1988년 가야금 제작에 입문해 35년째 가야금을 만들고 있는 고령 가야금 명장 김동환(55)씨의 가야금 제작과정에 대한 설명이다.
그는 "가야금 제작은 기다림의 미학이자 끈기의 과정이다"면서 "민족 고유의 소리를 재연한다는 사명감으로 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의 작업실은 우룩이 실제 가야금을 만들고 연주했다는 우륵 박물관내 가야금 체험관에 있다.
김명장은 가야금의 청아한 자연의 소리에 이끌려 고령 정정골 우륵의 소리를 재연하는데 앞장서 왔다. 그의 작업과정은 매순간이 수작업으로 지극한 정성이 더해진다. 그를 찾은 시간에도 명주실을 꼬아 현을 거는중이었다. 가야금은 기성품을 사다가 조립하는 것이 아니다. 원목에서 가야금한대가 탄생되기 까지 모든 과정이 오롯이 그의 손길을 거친다. 5년의 기다림 끝에 마지막 조율을 거쳐 장인이 보기에 소리가 마음에 들어야 비로소 가야금은 명장의 곁을 떠난다.
대뜸 가야금은 어떤 악기냐고 묻자 김명장은 주저없이 "가야금은 자연과 가장 가까운 소리를 내는 전통 악기다"라고 명료하게 답한다. 그도 처음 배울 때는 "가야금에 인생을 걸 줄은 몰랐다"고 한다. 그러나 "가야금을 만들면 만들수록 우리 문화를 지킨다는 자부심과 사명감에 빠져들게 됐다"면서 "최고의 가야금을 만드는데 후회는 없다' 고 덤덤히 말한다. 가야금가격은 평균 1천만원대로 "요즘은 입시용으로 팔린다"고 귀뜸 한다.
그는 서울 출신으로 인간문화재 고흥곤씨로부터 가야금 제작을 전수 받아 2006년 우륵 막물관이 들어서면서 고령과 인연을 맺었다. 고령 가야금 명장도 달빛 내륙 철도에 대한 기대가 컸다. 달빛 내륙 철도가 완성되는 날 영호남이 힘을 합쳐 "대가야의 혼이 담긴 가야금으로 대연주회가 이뤄졌으면 한다"는 기대를 나타냈다.
나윤수 객원기자 nys2510857@mdilbo.com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