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환경부에서 환경을 위해서 매장 내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금지했다. 해당 제도 시행에 1년간 계도기간을 부여하며 대형 프랜차이즈 매장 및 소규모 매장까지 종이 빨대를 비치하는 곳이 늘고 있다. 그러나 친환경을 강조한 종이 빨대의 도입 취지가 무색하다는 의견들이 나오고 있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간단한 설명과 친환경을 위한 작은 실천방법을 알아보자.
문예송기자 rr3363@mdilbo.com
# 이건어때요??
-
[카드뉴스] '인기'과자에서 미세플라스틱 다량 검출 최근 언론을 통해 농심의 '새우깡', 빙그레의 '꽃게랑'에서 하루 평균 섭취량의 70배에 달하는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돼 논란이 됐다. 남녀노소 좋아하는 대표과자에서 다량 검출 돼 큰 문제가 됐다.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검출량이 상당하다는 건 사실이다. 해당 과자들은 타 과자와 다른 점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은 어패류를 주 원료로 사용하는 제품이다. 때문에 미세플라스틱이 해양생태계에 영향을 줘 인체에 직접적으로 섭취되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사건이 됐다. 식약처 및 국제적으로 검출량 관련한 기준치가 지정되지 않았으며 검사 대상에 과자류는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우려의 목소리가 컸다. 해당 사건이 이슈가 된 후 식약처에서는 포장 과자 등 미세플라스틱 검사 식품을 확대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또한 아직까지 인체에 유해한지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다고 밝히며 인체에 대한 독성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했다.문예송기자 rr3363@mdilbo.com
- · [카드뉴스] 팁 문화 국내에도…미국 따라하기?
- · [카드뉴스] 국내 제로웨이스트 실천 뷰티 브랜드
- · [카드뉴스] 내가 버린 페트병이 가방이 된다?
- · 서구, '제2 백종원' 꿈꾸는 청년들 창업 지원
저작권자 ⓒ 무등일보 기사제공.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