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약 청정지'로 불리던 한국에 마약 유통이 늘어나는 가운데 광주지역에서도 마약범죄가 급증하고 있어 경찰이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5일 광주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5월까지 광주에서는 159명의 마약 사범이 검거됐다. 지난해에는 같은 기간 동안 104명의 마약 사범을 검거한 것과 비교하면 1년 새 검거 실적이 53%증가했다.
구체적으로 검거자 159명 중 114명(71%)는 필로폰·엑스터시·야바·케타민 향정신성 의약품을 투약하거나 판매·유통한 혐의고, 나머지 45명은 대마초나 양귀비 등을 투약하거나 판매·유통한 혐의다.
광주에서만 매일 1명이 마약 관련 범죄로 붙잡히는 셈인데, 수사망에 잡히지 않은 마약 판매책·구매자 등을 고려하면 '마약시장'의 규모는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광주 서부경찰서는 광산구 한 호텔에서 '마약파티'를 벌인 20대 7명을 붙잡아 조사하고 있다고 이날 밝혔다. 이들은 최근까지 최대 7차례에 걸쳐 마약을 투약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경찰은 이들에게 마약을 공급한 판매책을 추적 중이다.
앞서 지난달 29일에는 광주 북구에서 40대 A씨가 떨어트린 마약을 찾기 위해 지구대를 방문했다가 마약사범으로 검거됐다. 수상함을 느낀 경찰이 '이 가루의 용도가 뭐냐'고 추궁하자 필로폰이라고 자백했다. 당시 A씨는 이미 두 차례에 걸쳐 필로폰을 투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경찰은 지난 4월부터 159명의 인력을 투입한 '마약류 범죄 척결 합동단속추진단' TF팀을 구성하는 등 마약 범죄 근절에 힘쓰고 있다.
광주경찰청 관계자는 "마약류의 중독성을 고려하면 청소년을 비롯한 시민들이 마약에 쉽게 노출되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접촉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마약 범죄를 뿌리뽑고, 각종 예방·홍보 활동을 수행해 광주 시민들의 평온한 일상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안혜림기자 wforest@mdilbo.com
-
마약 밀수해 청소년 등에 유통한 마약사범 무더기 구속 기소 야바를 담뱃갑에 숨긴 모습.국내에 불법 체류하며 도자기 받침대 등에 마약을 밀수해 유통시킨 이들이 무더기로 검찰에 기소됐다.광주지방검찰청 반부패·강력수사부(부장검사 최순호)는 지난 2월부터 마약 밀수·유통 범죄를 집중수사해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등의 혐의로 마약 공급사범 14명을 구속기소 했다고 8일 밝혔다.이들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5월까지 합성마약인 야바(YABA)·MDMA, 케타민 등을 대량 국내로 밀반입하고 유통하거나 투약한 혐의로 기소됐다.야바를 약통에 숨긴 모습.A(32)씨 등 태국인 8명은 지난 3월부터 5월까지 4억3천500만원 상당의 야바·MDMA 2만4천179정을 유통하거나 투약한 혐의다.검찰은 지난 3월 마약 수거책 A씨와 B(32)씨를 검거한 뒤 디지털 포렌식 등을 통해 불법 체류 중이던 주범 C(35)씨와 구매자들을 검거했다.한국인 D(23)씨는 지난해 8월 필로폰 0.2g을 산 뒤 17세 여자 청소년을 모텔로 유인해 투약하기도 했다.검찰은 지난 2월 '마약범죄 특별수사팀'을 출범하고 4월 '마약범죄 특별수사본부 광주·전남지역 수사실무협의체' 구축하는 등 마약 밀수·유통 범죄를 집중수사하고 있다.광주지검 관계자는 "수사를 통해 외국인 불법체류자들이 조직적으로 마약을 밀수한 후 SNS로 전국에 유통하고, 마약 공급사범들이 청소년에게까지 무차별적으로 마약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며 "앞으로도 경찰・세관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급속도로 확산된 마약범죄를 근절하겠다"고 말했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 · 광주경찰, '마약 유통·투약' 11명 검거···합동단속 추진단 성과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