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유발 1조4천억·관광수익 6천159억~7천735억

광주시는 26일 오후 서구 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에서 '2038 하계 아시안게임 광주·대구 공동유치 대시민 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김광진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을 비롯해 시민단체·체육 관계자, 시민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보고회는 2038 하계 아시안게임 광주·대구 공동유치 추진상황 보고, 공동유치 기반 조사 및 경제적·정책적 타당성 분석 결과 보고, 시민 의견수렴 등으로 진행됐다.
광주전남연구원이 '2038 하계 아시안게임 공동유치 기반조사 및 경제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아시안게임 소요 예산은 1조817억원으로 추산했다. 이에 따른 광주지역의 파급효과는 생산유발 1조4천억원, 부가가치유발 6천834억원, 취업유발 인원 1만6천명으로 예측했다. 관광수익도 약 6천159억~7천735억원으로 추정했다.
경제성 분석 결과도 비용대비 편익 비율(B/C)이 1.10으로 1보다 커 경제성이 있는 사업으로 판단했다.
또 광주시민 400명을 대상으로 시민 인식조사를 한 결과, 72%가 아시안게임 광주·대구 공동유치를 찬성했다.
공동유치를 찬성하는 이유로는 국가와 지역경제 기여, 스포츠 교류 활성화를 꼽았다. 반면 반대하는 시민들은 재정 부담과 일상 불편을 이유로 들었다.
특히,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이 전국 1천가구를 방문, 대면조사한 결과에서도 60.2%가 아시안게임 공동유치를 찬성했다.
성공적인 대회가 될 것이라는 응답은 이보다 높은 74.5%로 국민은 아시안게임 성공을 낙관적으로 내다봤다.
아시안게임 유치가 생활체육 활성화(61.1%)와 스포츠 발전(71.2%)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시안게임이 열리면 경기를 관람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엔 13.6%가 '직접 관람'을, 60.3%는 '미디어를 활용해 관람'할 것이라고 답했다.
광주시는 2038 아시안게임 공동유치를 위해 지난 2021년 5월 국회에서 광주·대구 아시안게임 공동유치 선언 및 협약식을 시작으로, 준비위원회 출범, 공동유치 범시민 100만 서명운동 및 100만 달빛서명 캠페인 등을 추진했다. 또 홍보대사인 안산 선수의 포스터를 제작해 SNS 등에 홍보하고 있다.
광주시는 앞으로 아시안게임 공동유치 관련 광주시의회 동의, 대한체육회에 국제종합대회 개최 계획서 제출, 문체부에 국제행사 개최 계획서 제출, 문체부 및 기획재정부 심의를 거쳐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에 유치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김광진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은 "2038 하계 아시안게임 광주‧대구 공동유치는 동서화합을 통한 국민대통합 실현과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 반드시 추진해야 하는 일"이라며 "아시안게임 유치 성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민의 깊은 관심과 전폭적인 지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석호기자 haitai2000@mdilbo.com
-
[영상]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3차 발사 기다리는 관람객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3차 발사가 25일 오후 전남 고흥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서 실제 인공위성을 본 궤도에 올려놓기 위해 발사된다. 누리호 발사 관망 포인트인 전남 고흥군 영남면 남열리 나로우주발사전망대에 수 많은 관람객이 더위를 피해 태극기를 흔들며 발사를 기다리고 있다. 양광삼기자 ygs02@mdilbo.com
- · [영상] 광산구 제1회 세계고려인 대회
- · [영상] 오월 정신 계승, 주먹밥 나눔
- · [영상] 볼거리와 즐길 거리 넘치는 '양림 예술마켓' 버스킹 군무
- · [영상] 모처럼 펼쳐진 파란 하늘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