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 대학생 4명 모여 '캠페인'
'착한 소비 기준표' 제작해 배포
"제로웨이스트샵 널리 알리겠다"

전세계적인 위협으로 다가온 기후위기로 환경·경제·문화 등 사회 전반에서 시민들에 대한 지속가능발전 교육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이 같은 추세에 맞춰 독서로 지속가능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요소에 대해 스스로 학습하고 일상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챌린지에 동참하는 광주 시민들이 있어 주목을 끈다. ‘내 삶을 바꾸는 챌린지’에 참여하는 시민들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이 챌린지는 지난 6월부터 9월까지 광주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와 광주평생교육진흥원 지원으로 진행됐다. 무등일보는 이 운동에 참여한 시민들의 사례를 기사로 연재, 지속가능발전교육 시민실천 모델을 알리고 범시민적 운동으로 확산하고자 한다. 연재명은 ‘내 삶에서 지속가능 실천한다’는 의미의 ‘내삶지실’로 명명한다.<편집자주>
"기후위기에 대해서 알아가다 보니 소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인류의 소비 습관이 탄소를 무분별하게 배출하고 온난화를 가속시킨다는 걸요. 저희의 목표는 기후위기 심각성과 함께 착한 소비를 실천하도록 널리 알리는 겁니다."
광주지역 대학교를 다니는 평범한 청년 4명으로 이뤄진 '청뜰'은 '착한 소비'에 기후위기 극복의 답이 있다고 입을 모았다. 그들 스스로가 환경에 관심이 많고 일부 실천한다고 생각했지만 그들이 해오던 '평범한 소비'를 바꾸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
이들이 이 같은 생각을 갖게 된 건 저서 '착한 소비는 없다'를 통해서다. 저서는 폭염과 폭우 등 전지구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기후 문제는 우리 소비 습관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하고 있다. 결국 '편리함'이라는 말로 용인되거나 조장된 '대량 소비'가 막대한 탄소와 쓰레기를 배출한 끝에 우리의 생존을 위협받게 됐다는 주장이다.

김혜림 학생은 "저서를 통해 우리의 소비가 어떻게 기후위기를 초래하는지도 알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어쩌면 우리가 환경을 위한다고 하는 소비조차도 본질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대학원에 진학하는 공학도로서 이 질문이 머릿속에 맴돌았고 어떻게 탄소를 줄일 수 있는 소비를 할 수 있을지 고민했다"고 전했다.
팀원들은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들을 고안하기로 했다. 또 이들이 고민하는 과정을 '마인드맵'으로 작성해 자신들처럼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실천에 관심있는 이들에게 배포하기로 했다.
오랜 고민 끝에 이들은 '착한 소비 기준표'를 제작하는 캠페인을 기획했다. '착한 소비 기준표'는 소비 절대량 줄이기, 원산지 생각하기, 보이지 않는 탄소발자국 실감, 쓰레기통 너머를 생각하기 등으로 이뤄져 있다. 탄소를 얼마나 배출하는지, 재활용이 가능한지를 구매 때부터 생각하는 '똑똑한 소비'를 하자는 것이다.
또한 '제로웨이스트' 제품 이용을 촉진하는 캠페인도 동시에 하기로 했는데 '제로웨이스트' 제품 자체를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직접 만들거나 구매한 제품을 함께 보급하는 것을 구상했다. 이를 위해 광주 광산구 내 제로웨이스트샵인 송정이공카페를 찾아 제로웨이스트 제품을 만들었다.
캠페인을 위한 작업을 마친 이들에게 남은 건 본격적인 작전 개시. 대상은 광주지역 대학생들이었다. 설문조사 방식으로 기후위기 심각성을 알리는 동시에 키트를 제공했다. 전남대학교와 조선대학교 학생 등 50여명을 대상으로 캠페인을 진행했다.
박진감씨는 "아무래도 코로나19로 우리 캠페인을 온라인으로 밖에 할 수 없는 한계가 있어 아쉬웠다"면서 "그럼에도 기후위기와 실천 방법을 알리는 활동을 계속한다면 이 사회가 바뀔 수 있다는 희망을 얻었다"고 전했다.
이성혁씨는 "평소 환경에 관심을 갖고 있지만 나에게만 한정된 활동을 했는데 다른 사람들과 함께 캠페인을 하면서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돼 좋았다"고 말했다.
이들은 캠페인이 끝난 뒤에도 시민들이 광주 내 제로웨이스트샵을 손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홍보를 지속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기후위기' 교육 프로그램도 설계해 운영해보고 싶다는 바람도 드러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
광주시민 절반 이상 무등산 케이블카 설치 '찬성'[무등일보·뉴시스·전남일보·MBC·CBS 공동 여론조사ㅣ무등산 케이블카]
찬성 55.7% 반대 38.8%… 18.9% 차
70세 이하 모든 연령대서 고루 지지
-
광주 현안 중 최우선은··· 28.9% "군공항 이전"[무등일보·뉴시스·전남일보·MBC·CBS 공동 여론조사ㅣ시급한 광주 현안은]
쇼핑몰 16.0%… AI도시 육성 14.8%
-
無 김산, 탈당해도 현직 프리미엄··· 民 최옥수에 21.4%p차[무등일보·뉴시스·사랑방닷컴 공동 격전지 지방선거 여론조사ㅣ무안군수 후보 지지도]
모두 경선 컷오프… 최, 재심 끝 공천
김, 강력한 조직력에 큰 격차 분석
최대 현안은 ‘남악·오룡지구 활성화’
-
無 강인규 선두··· 民 윤병태 4.9%p차 바짝 따라붙어[무등일보·뉴시스·사랑방닷컴 공동 격전지 지방선거 여론조사ㅣ나주시장 후보 지지도]
민주당 강세 역대선거와 다른 양상
오차 내 초박빙 구도 지속 가능성
최대 현안은 ‘SRF 열병합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