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홍보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사무국은 2023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의 성공 개최를 위해 27일 귀성객을 대상으로 현장 홍보 활동을 펼쳤다고 밝혔다.
수묵비엔날레사무국 직원들은 이날 목포역과 목포 시외버스터미널 일원에서 추석 명절 귀성객을 대상으로 현장 홍보 활동을 펼치고 홍보 물품과 함께 따뜻한 인사를 전했다.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는 추석 연휴 기간 귀성객과 지역 관광객의 전시장 방문 증가에 대비해 개관일과 휴관일 변경도 추진한다.
오는 10월 2일은 주 전시관인 목포문화예술회관, 노적봉예술공원미술관, 대중음악의전당, 남도전통미술관, 소치1관2관, 진도향토문화회관을 특별 개관한다.
오는 10월 4일은 대체 휴관하며, 추석 당일인 29일과 그 외 월요일은 모두 휴관한다.
박근식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사무국장은 "가을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특별한 수묵 관람으로 풍요로운 한가위를 보내시길 바란다"며 "수묵의 대중화·세계화에 기여할 수 있는 성공적인 행사가 되도록 남은 기간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23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는 '물 드는 산, 멈춰선 물-숭고한 조화 속에서'를 주제로 19개국 190여 명의 작품 등 다채로운 볼거리를 선보이며 지난 26일 관람객 20만 명을 돌파하는 등 연일 관람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선정태기자 wordflow@mdilbo.com
-
11월 GB작가스튜디오, 윤세영 작가 만나 윤세영 작 '생성지점(Becoming Space)' 11월의 GB작가스튜디오탐방이 윤세영 작가 작업실에서 펼쳐진다.(재)광주비엔날레(대표이사 박양우)는 윤세영 작가 작업실에서 촬영한 인터뷰 영상을 광주비엔날레 공식 유튜브에 오는 30일 공개한다.이번 영상에서는 윤 작가가 작업에서 고민하는 지점을 시작으로 재료 선택의 이유, 관객들에게 전달하고 싶은 작업 세계 등에 대한 인터뷰와 대표작 등을 영상을 통해 접할 수 있다.한국화를 전공한 윤세영 작가는 양면적인 속성들을 '생성지점'(Becoming Space)이라는 주제로 나타내고 있다. 시간과 관계의 의미 등에 대해 천착해 온 작가의 '생성지점(Becoming Space)' 시리즈는 생성과 소멸의 경계를 표현하며 양극단에 있는 개념을 하나의 지점으로 수렴시킨다. 이는 작가의 작업을 관통하고 있는 관념으로, 동양의 연기설(緣起說)을 회화와 설치 등 작가만의 조형 언어로 형상화하고 있다.전남대 미술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한 윤세영 작가는 총 11회 개인전과 '양림 골목비엔날레' '두 번째 봄-광주시립미술관 개관 30주년' 등 다수 그룹전에 참여했다. 이 밖에도 독일과 이탈리아 레지던시 작가로 활동했으며, 2018년 하정웅 청년 작가상을 수상한 바 있다.광주비엔날레 재단은 작가스튜디오탐방의 프로그램 목적인 작가 연구에 대한 담론을 보다 확장시키기 위해 윤세영 작가를 박영택 미술평론가(경기대학교 미술경영학과 교수)와 매칭 했다. 윤세영 작가에 대한 박영택 평론가의 연구 결과물은 오는 30일 영상 공개일부터 광주비엔날레 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한편 광주비엔날레 작가스튜디오탐방은 온오프라인 병행 운영을 통해 지역작가에 대한 소개는 물론 지역 문화예술 가치의 공유와 확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 작가스튜디오탐방은 온라인에 주력하여 진행 중이며, 매월 마지막 날 작가 인터뷰 영상을 광주비엔날레 유튜브 채널에서 공개한다.지난 10월 작가스튜디오탐방은 임남진 작가를 만났으며 영상은 광주비엔날레 유튜브에서 확인할 수 있다.김혜진기자 hj@mdilbo.com
- · 서울시 도시경관담당관실, 광주폴리 탐방
- · 2023 UAUS 광주폴리 서포터즈 발대
- · 53만명 다녀간 광주디자인비엔날레, 대장정 마쳐
- · 미역·굴 패각···자연물은 건축 재료가 될 수 있을까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