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씨 "무고한 시민들 돌아가셔 가족들 대변해 죄송하다"

고 전두환의 손자 전우원씨가 제43주년 5·18민주항쟁 기념 부활제와 고 정동년 선생 1주기 추모제에 참석하는 등 광주에서 사죄 행보를 이어갔다. 특히 전씨는 부활제에 참석해 오월영령에게 큰절을 올리고 광주시민들에게 재차 사과의 뜻을 밝혔다.
광주·전남민주화운동동지회는 29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 2묘역에서 고 정동년 선생 1주기 추모제를 열었다.
고 정동년 선생은 1980년 5·18민주화운동 관련 내란수괴 혐의로 사형 선고를 받고 5·18관련자 중 가장 오래 수감생활을 했으며 이후 안기부의 5·18 구묘역 없애기 공작에 맞서는 등 5·18 진상규명을 위해 평생을 헌신했다.

이날 추모제에는 고 정동년 선생의 부인 이명자 전 오월어머니집 관장, 공법단체 5·18민주화운동공로자회·부상자회, 강기정 광주시장, 전우원씨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추모제는 민중의례, 이기붕 5·18기념재단 사무처장 연보 낭독, 송선태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 위원장 인사말, 강 시장을 비롯한 내빈 추모사, 추모가, 정동년선생기념사업회 준비위원장 인사, 유족대표 인사,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헌화 순으로 진행됐다.
유족대표로 나선 고 정동년 선생 아들 정재헌씨는 "5·18은 누구의 것도 아니고 광주시민들의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밖에서 폄훼·왜곡하는 세력들이 있어 내부에서 단합이 돼야 하지만 그 힘을 잃은 것 같다"며 "여기 계신 분들이 5·18정신이 헌법 전문에 실릴 수 있도록 노력해주실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전씨에 대해서도 "할아버지를 대신해 와줘서 감사하다. 누가 뭐라고 하더라도 나는 감사하다"며 "이렇게 5·18은 바뀔 거 같다"고 덧붙였다.
앞서 5·18민주화운동공로자회는 지난 27일 오후 5시부터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 앞 5·18민주광장에서 제 43주년 5·18민중항쟁 기념 부활제를 진행했다.

부활제에는 5·18유공자들을 비롯한 5·18민주화운동공로자회·부상자회, 정홍식 광주지방보훈처장 등 500여명과 전씨 일가 최초로 전우원씨가 참석해 오월 영령들의 넋을 기렸다.
부활제는 금남로에서 시작한 상여행렬과 살풀이 춤 무애, 오월 영령들을 위한 제례 등으로 구성된 식전행사를 시작으로 국민의례, 내빈소개, 기념사, 정홍식 광주지방보훈처장 추모사, 감사장 전달, 김성대 시인의 추모시 낭송, 추모공연, 나눔행사 등으로 진행됐다.

제례에 참여한 전씨는 분화·헌화한 뒤 무대 앞으로 나와 "오늘 이 자리에 나올 수 있게 해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린다"며 "43년 전에 우리나라 국민을 지켜야 되는 그분들이 저희 할아버지에 의해 무고하신 광주 시민분들을 비참하게 돌아가시게 한 일이 있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민주주의를 위해 끝까지 온몸을 바쳐서 희생하신 분들 그리고 지금도 살아계시지만 고통 속에 하루하루를 보내고 계신 분들께 다시 한 번 진심으로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며 "저희 가족들을 대변해서 정말로 죄송하다"고 사죄했다.

이어 "저는 모든 분께 이렇게 관심을 받을 자격이 하나도 없다. 여태까지 미국에서 제 가족들이, 제가 알면서도 항상 방관해왔다"며 "제가 여기 있음으로써 많은 분이 제게 관심을 가져주시는 것이 아니라 정말 민주주의를 위해 희생하신 모든 분을 저를 통해서 한 번이라도 더 생각하고 기억하는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전씨가 발언을 마치자 주변에 있던 시민들의 박수가 터져 나오기도 했다.
전씨는 부활제를 마치고 오월어머니들과 함께 주먹밥 나눔 행사에 참여한 뒤 옛전남도청에서 오월어머니들과 함께 저녁 식사를 했다.
한편, 전씨는 지난 26일부터 29일까지 광주에 머물며 5·18 관련 행사들에 참석해 광주시민들에게 사과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오월지키기대책위, 오월 문제 해결 위한 공개토론회 제안 21일 오전 광주·전남 199개 시민사회단체가 모인 '오월정신 지키기 범시도민 대책위원회'가 광주 동구 전일빌딩245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오월 문제 해결을 위한 공개토론회를 제안하고 있다. 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광주·전남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5·18 공법단체와 특전사 동지회의 대국민 공동선언식 이후 촉발된 오월단체와의 갈등 해결을 위해 공개토론회를 제안했다.광주·전남 199개 시민사회단체가 모인 '오월정신 지키기 범시도민 대책위원회'는 21일 오전 광주 동구 전일빌딩245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대책위는 공개적인 장소에서 시민 참여를 전제로 오월이 현재 직면한 문제와 5·18 50주년을 비롯한 중·장기적 과제에 대한 광주공동체의 책임과 노력, 해법을 찾기 위해 공개토론회를 제안한다"고 밝혔다.이어 "지금까지는 5·18 공법단체와 특전사 동지회의 활동에 하나하나 대응하는 식이었다면 이제부터는 능동적으로 오월 문제 해결에 앞장서고자 한다"고 설명했다.대책위가 제안한 공개토론회의 원칙은 광주·전남 시·도민의 눈높이에서 현안을 바라보고 해결하는 것으로 구성은 광주시와 광주시의회, 5·18기념재단, 대책위 등 4자 토론회다.5·18 공법단체와 특전사 동지회는 지난달 12일 5·18기념재단이 제안해 열렸던 비공개 간담회 때처럼 갈등의 양상만 부각되면서 서로의 주장만 되풀이하다가 결과물을 도출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어 구성에서 배제했다.다만 대책위는 공개토론회 진행에 앞서 5·18 공법단체와 특전사 동지회에 '진정한 사죄의 조건' 등을 주된 내용으로 한 공개토론회를 별도로 제안했다.유봉식 대책위 상임대표는 "올해 불거진 오월 갈등은 크게는 대국민 공동선언식으로 촉발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동안 광주와 오월이 안고 있던 수많은 문제들이 터진 것이다"며 "당사자들끼리 사과하고 끝날 문제가 아니라 광주·전남 시·도민 전체가 '그만하면 됐다'라고 할때까지 5·18에 대한 진실을 규명하기 위한 고백과 같은 실질적인 노력이 있었어야 진정한 사죄였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이어 "광주·전남 시·도민의 눈높이에서 공개토론회를 열어 오월이 직면한 문제의 해결책을 찾는 데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 5·18 행사위, 제43주년 5·18기념행사 평가 설문 실시
- · "그날 진실 그림 통해 알리고 싶어 배웠죠"
- · 공연 통해 5·18사적지 활용 방안 찾는다
- · 특전사회 세 번째 오월영령 참배···"진정한 사죄부터" 일침도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