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이 쓰레기 처리 문제로 몸살이다. 광주 도심은 말할 것도 없고 전남 농어촌도 쓰레기로 몸살이다. 여기에 코로나19를 거치며 배달과 포장소비가 급증하면서 일회용품 쓰레기 배출량도 급격히 늘고 있다.
광주시와 전남도의 쓰레기 처리 문제가 뜨거운 현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의 정책과 함께 광주시와 전남도 등 자치단체와 지역민의 쓰레기에 대한 경각심과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광주시 쓰레기 매립장 매립 용량이 포화상태에 다다르고있다. 2026년까지는 가능할 것으로 예상됐던 광역위생매립장 만장 시기가 내년으로 예상된다. 나주SRF의 가동 중단도 만장 시기가 당겨진 원인 중 하나다.
전남 역시 마찬가지다. 순천시 매립장이 1~2년 후 한계점을 앞두고 새 부지 확보에 나섰다. 600억원에 달하는 인센티브까지 제시했지만, 4곳 후보지 중 어느 신청지는 한 곳도 없다. 목포 매립장도 올해 만장을 앞두고 소각시설을 고민중이다. 쓰레기 처리시설이 혐오시설로 인식되며 시민들이 꺼리고 있어서다.
그런 가운데 시민들 사이에 다회용기 사용, 일회용 쓰레기 줄이기, 제로웨이스트 운동이 일고 있다. 제로웨이스트를 선언한 기업들도 늘고 있다. 허나 지금의 쓰레기 증가속도는 민간의 선한 의지에 기대서 해결될 일이 아니다. 민간의 다양한 움직임이 사회적 흐름으로 나갈 수 있도록 지자체가 이를 뒷받침 돼야한다.유년기부터 쓰레기 등 환경문제에 관심을 갖도록 교육현장의 연계방안도 고민돼야한다. 민관이 함께 나가야한다.
무엇보다 국가의 적극적인 쓰레기 정책이 우선이다. 이와함께 70∼80년대부터 쓰레기문제에 대처해온 해외 성공사례는 우리사회의 미래다. 정부정책과 해외사례를 광주·전남지역 현실에 맞게 변용하는 일은 우리의 역량이자 책무다. 광주· 전남만의 자생적 변화를 모색해 나가야한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