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구온난화가 심화되면서 겨울철 북극의 온난화와 중위도 지역 온도의 연관성이 현재보다 불확실해져 앞으로 기후 예측이 더욱 어려워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는 한·미 공동연구팀이 지난 40여년 간의 과거 기후자료와 1.5도, 2.0도 더워진 지구온난화를 전망한 미래기후전망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지구가 더워져도 겨울철 북극발 한파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그 상관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실제 기후변화로 인해 북극 지역의 온도가 다른 지역들에 비해 평균적으로 거의 두 배 이상 따뜻해지고 있으며 이 현상은 빙하의 감소 및 대기‧해양 온도 상승과 관련된다. 급속히 상승한 북극 온도는 북극 지역뿐만 아니라 중위도 지역의 기후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또 연구팀은 자료 분석을 통해 '따뜻한 북극, 추운 대륙' 기후 패턴은 매년 존재하지만 그 강도는 매년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 현상이 지구온난화의 여부와 상관없이 나타나고 겨울철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패턴임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지구가 1.5도 혹은 2.0도 따뜻해지더라도 이러한 패턴은 존재하나 그 변동성이 증가한다고 전망했다. 지금까지 겨울철 한파를 예측하는 인자로서 북극 온난화가 사용됐는데 미래의 더워진 조건에서는 중위도 한파를 예측하는 데 북극 온난화가 유용한 인자로 사용되기 어려워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는 게 연구팀 설명이다.
윤진호 교수는 "2022년과 2023년 겨울(매년 12월~2월)에 여러 차례 발생한 이상고온과 한파의 원인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북극발 한파는 주요한 패턴으로 인식되고 있다"면서 "이번 연구를 통해 지금보다 더워진 미래에도 북극발 한파는 여전히 존재하며 예보는 더 어려워질 수 있음이 밝혀졌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윤진호 지스트 지구·환경공학부 교수와 홍윤기 박사과정생이 주도했으며, 유타주립대학교 Shih-Yu(Simon) Wang 교수, 손석우 서울대학교 교수, 김상우 교수, 정지훈 전남대학교 교수, 김백민 부경대학교 교수, 김형준 KAIST 교수가 참여한 공동연구로, 기상학 분야의 국제 저명학술지인 네이처(Nature)의 자매지인 '기후와 대기과학(npj Climate and Atmospheric Science)'에 지난 27일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
[영상]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3차 발사 기다리는 관람객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3차 발사가 25일 오후 전남 고흥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서 실제 인공위성을 본 궤도에 올려놓기 위해 발사된다. 누리호 발사 관망 포인트인 전남 고흥군 영남면 남열리 나로우주발사전망대에 수 많은 관람객이 더위를 피해 태극기를 흔들며 발사를 기다리고 있다. 양광삼기자 ygs02@mdilbo.com
- · [영상] 광산구 제1회 세계고려인 대회
- · [영상] 오월 정신 계승, 주먹밥 나눔
- · [영상] 볼거리와 즐길 거리 넘치는 '양림 예술마켓' 버스킹 군무
- · [영상] 모처럼 펼쳐진 파란 하늘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