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광섭 교수팀, 국제학술지 ‘Small’에 논문 게재

국내 연구진이 기존에 전기자동차에 쓰이는 배터리 보다 수명이 4배가량 더 늘어난 리튬금속배터리 기술을 개발했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은 엄광섭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이 구리 집전체의 전기화학적 전처리를 통해 리튬금속 전지의 용량 유지율 및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진은 유기 전해질 내에서 티오요산(Thiourea)의 리튬 질산염(LiNO3) 분해 촉매 효과를 최초로 규명하고, 이를 이용한 간단한 전기화학적 공정을 통해 리튬금속 전지 음극에 사용되는 구리 집전체 표면에 무기물이 풍부한 인공 고체막을 형성했다.
인공 고체막의 강한 물성과 이온 전도성에 의해 전지의 성능과 내구성을 떨어뜨리는 리튬 수지상 결정 성장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었으며, 이는 리튬 질산염의 촉매적 분해로 생긴 다량의 무기물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개발한 구리 집전체를 사용한 리튬 금속 음극을 사용한 결과 기존 구리 집전체 대비 약 2.5배 높은 용량 유지율, 4배 이상의 수명을 갖는 리튬금속 전지를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의 구리 집전체는 약 30회의 충·방전 후 70% 이하로 용량이 줄어들었지만, 새로 개발한 구리 집전체를 사용한 음극은 120회 이상의 충·방전 후에도 70% 이상의 용량을 유지하는 등 안정적인 성능을 보였다.
특히 전기화학 처리가 전압 주사와 같은 간단한 전기적 신호 적용만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전극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
엄광섭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소량의 전해질 첨가제와 간단한 전기화학 표면처리로 리튬금속전지 음극용 집전체로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했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면서 "향후 고에너지 리튬금속전지를 장착한 전기자동차의 상용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지스트 신소재공학부 엄광섭 교수가 지도하고 김수빈 박사과정생이 주도적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는 재료 공학 분야 국제 저명 학술지인 '스몰(Small)'에 지난 22일자로 온라인 게재됐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
[영상]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3차 발사 기다리는 관람객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3차 발사가 25일 오후 전남 고흥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서 실제 인공위성을 본 궤도에 올려놓기 위해 발사된다. 누리호 발사 관망 포인트인 전남 고흥군 영남면 남열리 나로우주발사전망대에 수 많은 관람객이 더위를 피해 태극기를 흔들며 발사를 기다리고 있다. 양광삼기자 ygs02@mdilbo.com
- · [영상] 광산구 제1회 세계고려인 대회
- · [영상] 오월 정신 계승, 주먹밥 나눔
- · [영상] 볼거리와 즐길 거리 넘치는 '양림 예술마켓' 버스킹 군무
- · [영상] 모처럼 펼쳐진 파란 하늘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