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 급식종사자·방과후 돌봄교사 등 학교비정규직노동자들이 지난해에 이어 오는 31일 2차 총파업을 예고해 광주지역에 국·공립 유·초·중·고교의 급식과 돌봄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광주시교육청은 총파업 참여 인원을 파악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광주지부는 27일 오전 광주시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부 등과 7개월 장기간의 교섭에도 불구하고 2022년도 학교비정규직 집단 임금교섭은 타결이 안됐다"며 "31일 신학기 총파업 돌입을 선포한다"고 밝혔다.
단체는 "교육부·17개 시도교육청과 지난해 9월 14일부터 총 20여차례 집단(임금)교섭을 진행했지만 사측은 불성실 교섭을 하며 단체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며 "사측은 물가폭등, 실질임금 하락이 우려되는 사회 분위기에서도 기본급 2% 인상안, 근속수당 동결을 제시하며 학교비정규직 차별을 그대로 방치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지난 15일에는 '학교 급식실 조리환경 개선방안'을 발표했지만 급식 종사자의 폐암 위험, 높은 노동강도로 인해 조기 퇴사, 신규 채용 미달 등의 인력문제를 해결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대책이다"고 덧붙였다.
이어 "학교비정규직의 90%는 여성 노동자들이며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하는 저임금이 대다수이다"며 "하지만 윤석열 정부는 여성노동자에 대한 개선 없이 노동개혁만 주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보수적인 기재부조차 비정규직은 정규직 대비 0.5% 추가 인상, 정부 공무직위원회도 과도한 임금 격차가 없도록 해야 한다고 권고했지만 교육부와 교육청들은 이마저도 무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학교비정규직 집단임금교섭에 대해 17개 시·도교육감들에게 책임을 묻고 해결방안을 제시해야 한다"며 "오는 31일 급식 종사자를 비롯해 학교 돌봄 교사 등은 총파업을 통해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열악한 근무환경을 알리겠다"고 밝혔다.
이에 시교육청 관계자는 "29일까지 파업 참여 인원 등 현황을 파악할 예정이다"며 "파업으로 인해 급식이 중단될 시에는 기본적으로 빵과 우유 등으로 대체하게 될 것이고 현황 파악 후에 정확한 대응책을 마련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11월 25일 광주와 전남지역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총파업을 단행해 262개 학교가 급식을 빵·우유·도시락 등으로 대체했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
[영상] 전남농협 양파냉해 피해지역 농가일손돕기 "애타는 농심… 조금이라도 힘 보태야죠"농협전남본부와 무안군지부가 함께하는 양파냉해 피해지역 농가일손돕기가 7일 무안군 운남면 양파밭에서 열렸다. 이날 박종탁 농협중앙회 전남본부장과 이석채 운남농협조합장, 김해종 농협 무안군지부장 등 직원들이 일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농가들을 위해 양파 줄기 자르기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임정옥기자 joi5605@mdilbo.com
- · [영상]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3차 발사 기다리는 관람객
- · [영상] 광산구 제1회 세계고려인 대회
- · [영상] 오월 정신 계승, 주먹밥 나눔
- · [영상] 볼거리와 즐길 거리 넘치는 '양림 예술마켓' 버스킹 군무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