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팀이 연구팀이 펩타이드 보충제를 이용해 코로나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발견했다.
지스트는 오창명 의생명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인간 폐 세포주를 실험에 사용해 폐 세포 내에서 아펠린-13이 ACE2에 직접 결합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실질적인 코로나19의 치료 타깃으로 아펠린의 역할을 실험과 공공 데이터를 활용한 실험으로 증명했다.
이 실험으로 코로나 바이러스가 폐 세포 안으로 진입하기 위해 결합하는 체내 수용체를 펩타이드인 '아펠린13(Apelin-13)'이 분해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향후 실험용 쥐 등 동물을 대상으로 한 전임상시험이 성공할 경우 새로운 코로나19 치료 방법으로서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사스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인체 내에 있는 단백질인 ACE2를 수용체로 이용해 폐 세포 내로 진입해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연구팀은 사스 바이러스의 스파이크를 삽입한 유사 바이러스(슈도 바이러스)에 인간 폐 세포주를 감염시키고 아펠린을 농도별(0, 2, 5, 10마이크로몰(μM))로 주입한 뒤 스파이크 단백질의 발현량을 확인했다.
그 결과 아펠린-13을 주입하지 않은 그룹보다 10마이크로몰(μM)을 주입한 세포주에서 스파이크 단백질이 80% 적게 발현된 것을 확인했다.
또 아펠린이 제거된 실험용 쥐의 폐 조직을 이용한 기존 연구의 공공 데이터를 활용해 추가적인 전사체 분석을 진행했으며, 그 결과 아펠린이 제거된 그룹에서 폐염증 및 발암의 매개체인 유전자들이 증가했다.
실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사망자의 폐 부검 데이터를 활용한 전사체 분석에서는 아펠린 발현량이 많은 그룹이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된 면역 반응 유전자들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스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 24명(남14·여10)의 공공 데이터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바이러스 양이 많은 환자 그룹에서 아펠린의 발현 수치가 약 1.5배 더 높았으며, 폐섬유증 형성과 관련한 유전자들의 발현이 줄어들었다.
이러한 실험 및 분석 결과는 아펠린이 존재할 때에 면역과 염증 반응이 개선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으며, 바이러스의 양이 많아졌을 때 아펠린에 의한 보호 효과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게 연구팀 설명이다.

오창명 교수는 "전사체 분석과 여러 실험데이터들을 통해 아펠린이 코로나의 감염을 억제하고 감염으로 인한 조직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현재 준비 중인 전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칠 경우 획기적인 코로나 치료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오창명 교수팀이 수행한 이번 연구는 의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QJM: 국제의학저널(An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ine)'에 지난달 6일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
'서울의 봄' 실제인물 정선엽 병장, 조선대 명예졸업장 받는다 정선엽 병장. 뉴시스 조선대학교에 재학 중 입대해 군사반란군의 총탄에 맞고 숨진 정선엽 병장에 대해 대학측이 명예졸업장 수여를 추진한다.조선대는 영화 '서울의 봄'에서 지하벙커 초병 근무를 서다 군사반란군의 총탄에 맞고 숨진 정선엽(영화 조민범) 병장에 대해 내년 2월께 명예졸업장 수여를 추진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영화 서울의 봄에는 조선대 출신이 2명 등장한다.작품 후반부에서 육군본부 B-2벙커를 지키는 조민범 병장은 당시 조선대 재학 중에 입대한 정선엽 병장을 모티브로 제작됐다.정 병장은 1956년생으로 조선대 전자공학과 77학번이다. 입학 후 곧바로 군에 입대해 국방부 헌병으로 복무하다 제대를 얼마 앞두지 않은 1979년 12월 13일 지하벙커에서 초병 근무를 서다 군사반란군의 총탄에 맞고 사망했다.배우 정우성이 열연한 주인공 이태신 수도경비사령관은 장태완 전 수도경비사령관을 모티브로 했다.장태완 사령관은 1931년생으로 조선대 법학과 58학번이다. 대구상고를 졸업한 장태완은 6·25가 발발하자 19세에 육군종합학교에 갑종 장교로 지원, 소위로 임관하면서 대학에 가지 못했다. 이후 1952년 광주에 군사교육총감부가 설치되고, 조선대가 위관·영관 장교 위탁 교육을 맡으면서 장태완은 법학과 학위를 받게 됐다.또 조선대 교정이 영화 촬영장소로 알려지면서 눈길을 끌고 있다.영화 '서울의 봄'은 지난해 5월 28일부터 29일까지 이틀간 조선대 본관 1~3층 복도와 지하대피소 등에서 촬영했다.복도장면은 영화 초반부 주인공인 배우 정우성과 황정민이 등장하는 장면에 사용됐으며 지하대피소는 영화 중후반 육군본부 B2벙커 입구로 등장한다. 촬영 당시 복도와 지하대피소에는 '육군본부', '제한구역' 등의 표지가 부착됐다.아울러 본관 중앙 계단은 4공수 대원들이 송파 특전사령부 참모들을 체포하고 배우 정만식이 연기한 공수혁 특전사령관을 죽이러 진입하는 길목으로 등장한다.조선대 관계자는 "우리학교 출신인 정선엽 병장이 반란군의 총탄에 맞아 사망한 정황이 확인되고 있어 학교 측은 내년 2월 정기 학위수여식에 맞춰 명예 졸업장을 수여할 예정이다"고 밝혔다.한편 1979년 12월 12일 신군부 세력의 반란을 그린 영화 '서울의 봄'은 이날 오전 기준 누적관객수 506만명을 기록했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 · 지스트, 코로나로 인한 폐섬유화 치료법 밝혀···약물 유효성 규명
- · 전남 학교급식비 지원 400원 인상·1천204억원···분담률 5대 5
- · 이정선 교육감, 광주유소년축구팀과 첫 소통 한마당
- · 서영대 간호학과, '임상간호학술 경진대회' 개최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