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순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취임 34일만인 8일 사퇴하면서 역대 5번째 단명(短命) 교육수장이 됐다.
박 부총리는 지난달 29일 논란이 된 '만 5세 초등학교 입학' 정책을 발표한 지 열흘 만에 책임을 지고 사실상 경질되는 모습으로 자리에서 물러나게 됐다.
박 부총리는 윤석열 정부에서 임명된 국무위원 중에서는 처음으로 낙마한 사례다.
국무위원 후보자를 포함하면 김인철 교육부 장관, 정호영·김승희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에 이어 네 번째 사례가 된다.
박 부총리는 지난 5월26일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 발탁됐으며 인사청문회를 거치지 않고 지난달 4일 지명 39일만에 임명이 재가됐다. 그는 임명 이후에도 음주운전 전력과 논문 중복게재로 두 차례나 학회에서 투고 금지 징계를 받는 등 후보자 시절 제기됐던 의혹으로 곤혹을 치렀다.
박 부총리보다 임기가 짧았던 교육 수장은 총 4명으로 9대 윤택중 전 문교부 장관, 41대 송자 전 교육부 장관, 47대 이기준 전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49대 김병준 전 부총리가 있다.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5년 1월5일 취임한 이기준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은 사외이사 겸직, 장남의 이중국적 문제 등의 의혹이 불거져 물러난 사례로 지금까지 임기가 가장 짧다.
이 전 부총리는 노무현 대통령으로부터 2005년 1월4일 지명됐으며 이튿날 취임했지만 같은 해 1월7일 오후6시30분 기자회견을 열고 사의를 표명했다. 임명 사흘 만이다. 국회 인사청문회를 논란 끝에 통과해 2006년 7월21일 임명된 김병준 전 부총리도 대학교수 시절 논문표절 의혹으로 같은 해 8월2일 사의를 표했다.
김대중 정부 시기인 2000년 8월7일 취임한 제41대 송자 문교부 장관이 논문표절, 실권주 시세 차익 등의 의혹 제기로 논란이 일자 20여일 만에 물러났다. 박 부총리의 전임자인 문재인 정부의 유은혜 전 부총리는 가장 임기가 길었다. 지난 2018년 10월2일 취임, 3년 7개월여 동안 재임하다 새 정부 출범 전날인 지난 5월9일 물러났다.
서울=김현수기자 cr-2002@mdilbo.com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