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의 도시인문학' 주제 포럼
김호석 화가·정성훈 교수 등
학계 전문가 발제·토론 이어져

지역이 당면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인문적 관점으로 고민해보고 이를 토대로 지역 발전까지 모색해볼 수 있는 자리가 열린다.
시민자유대학과 광주 동구가 10일 오후 2시 '무등인문포럼'을 무등현대미술관에서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동구가 주관하는 '무등산 인문축제: 인문 For:rest' 프로그램 중 하나로 '무등의 도시인문학'을 주제로 진행된다. 포럼은 '지역과 상생' '도시와 인문학' 2개 세션을 통해 지역의 로컬리티와 도시 인문학을 이야기한다.

이날 행사는 임택 동구청장의 인문도시 비전선포와 함께 김호석 화가(전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 교수)의 기조발제 '그림으로 만나는 광주정신'을 시작으로 총 9명의 전문가 발표, 토론이 진행된다.
첫 번째 세션 '지역과 상생'은 광주와 부산의 도시개발 역사를 비교, 검토하며 거대 도시 공간의 탄생과 로컬리티를 살펴본다. 윤현석 광주일보 정치부 부국장은 '일제강점기 그들은 왜 갱생지구를 광주에 조성했나'를 주제로 일제강점기 광주 도시개발과 빈민이 무등산 자락으로 강제 이주 당하고 갱생지구가 조성된 역사를, 차철욱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소장은 '한국전쟁 피란수도와 부산의 로컬리티'를 주제로 한국 전쟁 피난민들의 부산 이주와 생활공간 그리고 국제시장의 로컬리티에 대해 발표한다.
두 번째 세션 '도시와 인문학'은 도시와 인문학의 만남을 위해 김건 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교수가 '도시 인문학의 학문적 담론과 실천'을 주제로 도시 인문학에 대한 담론을 살피고, 서울 동자동 쪽방촌 공동체 공간의 현장연구 내용을 발표한다. 정성훈 인천대 인천학연구원 교수는 '도시인문학과 친밀공동체 연구의 의미'를 주제로 현대 사회에서 개인주의를 보완하는 공동체 유형으로서 도시 인문학의 관점에서 친밀한 공동체를 짚어본다.
종합토론은 '무등의 정신과 인문도시'란 주제 아래 박구용 전남대 철학과·시민자유대학 교수의 진행으로 나눔과 참여의 인문도시 광주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제고한다.
박구용 교수는 "인문도시 전담부서를 설치하는 등 인문도시 모델을 창출하고 있는 동구와 광주의 대표적 민간 인문단체인 광주 시민자유대학이 민간협력을 통해 인구문제와 도시문제, 기후위기 등 시대적 과제에 대해 인문적으로 접근하고 대안을 모색한다는 측면에서 뜻 깊은 자리가 될 것"이라며 "특히 부산과 광주의 도시발전사를 비교한다는 점, 광주 정신과 도시의 미래를 전망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행사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행사는 무료로 진행되고 사전 신청은 시민자유대학을 통해 가능하다. 사전 신청 없이 당일 현장 참여도 가능하다.
김혜진기자 hj@mdilbo.com
-
[카드뉴스] 팁 문화 국내에도…미국 따라하기? 온라인상에서 이슈가 된 미국의 팁 문화가 최근 한국에도 생겼다는 소식에 의견이 분분하다. 현재 펜데믹을 겪으면서 물가상승과 고용난으로 미국에는 팁(Tip) 또한 기존 10~15%의 금액이 평균이었지만 최근 최대 30~40%가량으로 오르는 등 각종 추가 비용(직원 건강보험료 등)이 생겨나 미국 식당가 및 서비스업에서 역풍을 맞고 있다. 미국은 팁을 주는 것이 당연시돼 잘못된 관행을 없애자는 누리꾼들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한국에도 이러한 문화를 도입한 식당과 카페 및 기업이 있다.문예송기자 rr3363@mdilbo.com
- · "전일빌딩으로 문화 체험하러 오세요"
- · 동네 곳곳서 시민 누구나 생활문화 즐긴다
- · 광주시, 23일 '남도달밤야시장' 개장
- · 서울엔 한강공원 있다면, 광주엔 하늘마당 있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