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인구 재유출 조짐 '꿈틀'
20~30대 중심으로 이탈 발생


광주와 전남을 벗어나는 '탈호남' 인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광주를 떠나는 인구는 4년 연속 5천명을 넘었다.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올해는 지난해보다 더 많은 유출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20일 호남지방통계청가 발표한 3분기 호남권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광주지역을 떠난 순이동자수는 1천173명이다. 광주를 떠난 인구가 1천명 이상인 것은 2022년 4/4분기 이후 4분기 연속이다.
광주인구 유출은 해마다 지속되고 있다. 2018년 이후 최근 6년새 6천30명이 광주를 떠났다. 연평균 6천여명, 분기별로는 1천500명이 유출된 셈이다.
광주는 해가 지날수록 '탈광주' 현상이 심각해지는 모양새다. 2019년 3천875명 유출에 그쳤던 광주는 2020년 6천83명, 2021년 5천883명, 2022년 7천642명으로 유출 인구가 늘어났다.
올해 3분기까지는 유출인구가 6천484명이지만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7천명을 넘을 가능성이 크다. 취업과 대학교 진학 등의 이유로 대부분 4분기 때 유출 인구가 많기 때문이다.
전남도 유출 인구가 다시 늘어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2018년 8천30명, 2019년 8천788명, 2020년 9천754명, 2021년 4천487명 등 해마다 4천~8천명이 유출되는 전남은 지난해 345명 유출에 그치며 분위기를 바꿨다.
하지만 올해는 3분기 동안에만 2천140명이 유출되는 등 다시 전남을 떠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연령대로 보면 이번 분기에 광주는 20대(-808명), 30대(-261명) 등을 중심으로 1천173명이, 전남은 20대(-1천496명), 10대(-473명)를 중심으로 1천606명이 순유출 됐다.
인구유출 뿐만 아니라 호남지역은 고용률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경제지표가 뒷걸음질을 쳤다.
광공업생산은 화학제품 등의 생산이 줄어 전년 동분기 대비 3.2%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광주(-0.7%), 전남(-2.3%) 모두 줄었다.
건설수주 역시 건축·토목공사 수주가 모두 줄어 전년 동분기 대비 52.9%나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광주(-44.1%), 전남(-60.1%) 모두 줄었다.
수출 역시 철강 판 등의 수출이 줄어 전년 동분기 대비 18.5% 감소했다. 광주(0.3%)만 소폭 증가했 전남(-25.4%)은 감소했다.
건설수주 역시 건축·토목공사 수주가 모두 줄어 전년 동분기 대비 52.9%나 감소했다.
고용률은 30대, 50대 등을 중심으로 올라 전년 동분기 대비 0.9%p(광주 1.4%p·전남 0.4%p) 상승했다.
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GICON, 전남대병원서 광주 콘텐츠기업 IP홍보관 운영 전남대학교병원 홍보관 홍보이미지.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GICON)은 오는 29일까지 전남대학교병원과 함께 광주 콘텐츠기업 IP 홍보관을 운영한다고 4일 밝혔다.이번 홍보관에는 그동안 육성해온 광주 콘텐츠 기업 7개사의 포토존 및 포토부스가 운영된다. 시민들이 광주 콘텐츠 IP를 향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한 것이다.IP 홍보관에는 광주에서 지원한 애니메이션 IP '두다다쿵', '레인보우버블젬', '마법소녀 디디', '다이노맨', '힙덕', '뿡어카페'와 캐릭터 IP '하이!애완돌' 등을 만나볼 수 있다.또한 21~22일 전남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진행하는 크리스마스 행사에서 환아들이 함께 참여 가능한 컬러링 체험공간, 캐릭터 포토부스 사진촬영, 캐릭터 풍선 나눔 등 다양한 체험 이벤트도 펼쳐질 예정이다.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과 전남대학교병원은 광주 콘텐츠 IP 홍보 및 디지털헬스케어분야 사업 추진을 위해 상호 협력할 계획이다.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 "광주전남 K푸드 수출 위해 한류 콘텐츠로 브랜드화해야"
- · 광주경제일자리재단, '경제+일자리 통합기관 비전 및 CI 공유회' 통해 새단장 나선다
- · 광주경총 "금요일 아침을 웃음으로 깨웠다"
- · '찾아가는 일자리희망버스' 당일 8명 채용 '성과'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