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전KDN(사장 김장현)이 26일 광주광역시 남구 광주시각장애인연합회 내 복지관에 제2호 'KDN IT ON'을 기증하고 현판식을 개최했다.
이날 현판식에는 신수행 한전KDN ESG경영처장과 김영일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회장, 최삼기 광주시각장애인연합회장 등이 참석해 'KDN IT ON' 기증의 의미를 공유하고 시각장애인을 위한 IT 정보접근성 향상 방안에 대한 논의도 함께 진행됐다.
한전KDN KDN IT ON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정보의 불을 밝힌다'는 의미를 뜻하며 2017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전국의 아동복지시설 및 IT취약 계층을 지원하는 KDN IT움(IT의 싹을 틔우다, IT교육장)을 확대한 시각장애인 맞춤형 사회공헌사업이다.
해당 사업은 시각장애인의 IT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점자 정보기기, 센스리더' 등 맞춤형 정보화기기 제공과 능동적인 정보습득을 통한 시각장애인의 다양한 사회활동 참여기회 확대를 위해 추진됐다.
2022년 목포에 있는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전남지부에 제1호 기증을 시작으로 향후 전국으로 KDN IT ON기증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김영일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회장은 "IT ON 시설을 통해 장애인들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 향상과 다양한 사회활동 참여 확대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전KDN 관계자는 "국내 유일의 에너지ICT 공기업으로서 업(業)과 연계한 사회공헌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국민의 일상에 보탬이 되는 다양한 사회적 가치경영으로 모두가 행복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는 공기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양기생기자 gingullove@mdilbo.com
-
광주 합계출산율 0.66 '역대 최저' 통계청 제공 광주지역 합계출산율이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9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3분기(7~9월) 광주지역 합계출산율은 0.66명을 기록했다. 합계출산율 집계를 시작한 2009년 1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합계출산율은 가임여자 1명당 출산한 수를 뜻한다. 광주지역의 경우 두 가정당 겨우 한 자녀를 낳는데 그치고 있는 셈이다.광주의 합계출산율은 전국보다 심각한 수준이 됐다.전국 합계출산율은 1년 전보다 0.10명 감소한 0.70명이다. 전국도 지난 2분기에 이어 역대 최저치를 유지하고 있다.광주가 전국보다 합계출산율이 낮아진 것은 0.75명으로 떨어졌던 2020년 4분기 이후 11분기 만이다.시도별 합계출산율은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전국 17개 시·도에서 모두 감소했다. 이 중 합계출산율이 가장 낮은 곳은 서울(0.54)이었고, 부산(0.64), 광주와 인천(0.66), 대전과 경기(0.77)순으로 이어진다.1년새 가장 큰 하락 폭을 보인 것은 광주다. 광주는 전년 동기 대비 합계출산율이 0.20p 줄었다. 광주에 이어 세종(-0.18p), 대전 (-0.16p), 제주(-0.15p)순으로 나타났다.출생아 수도 가장 많이 줄었다. 올해 1~9월 광주 출생아 수는 4천785명으로 지난해 5천742명보다 16.7% 줄었다.광주처럼 두자릿수 이상 감소한 지역은 세종(-12.7%)과 제주(-11.6%)정도에 그친다.이같은 흐름은 출산 시기가 늦어지고 있는 것이 원인으로 보여진다.모(母)의 연령별 출산율(해당 연령 여자 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을 보면 30~34세가 64.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35~39세 42.3명, 25~29세 21.1명, 40세 이상 4.0명, 24세 이하 2.3명 등이 뒤따랐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전 연령층에서 모두 감소했다.9월 출생아 수는 1만8천707명으로 전년보다 3천211명(-14.6%) 감소했다. 감소폭은 2020년 11월(-15.5%) 이후 2년 10개월 만에 가장 컸다. 전년 동월 대비 출생아 수는 2015년 11월(3.4%) 이후 계속 감소하다가 지난해 9월 13명(0.1%) 늘었다. 하지만 지난해 10월부터 다시 1년째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출산 순위별 출생아 수 구성비는 전년동기에 비해 첫째아는 2.5%p 증가했지만, 둘째아와 셋째아 이상은 각각 1.8%p, 0.6%p 감소했다.한편 3분기 혼인 건수는 4만1천706건으로 전년 동기보다 3천707건(-8.2%) 감소했다. 같은 분기 기준으로 2020년 이후 3년 만에 가장 크게 줄었다. 1년 동안 발생한 총혼인 건수를 15세 이상 인구로 나눈 수치를 보여주는 일반혼인율은 남성(7.3건)과 여성(7.2건) 모두 0.7건씩 감소했다. 연령별 혼인율(인구 1천명당 혼인 건수)은 전년 동기 대비 남녀 모두 전년보다 줄었다. 혼인 종류별로 보면 남성 초혼은 3천2건(-7.9%), 재혼은 679건(-9.1%) 감소했다. 여성 역시 초혼(-2천889건·-7.9%)과 재혼(-802건·-9.5%) 모두 줄었다.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 국내 6개 은행, 중도상환수수료 한시 면제
- · 이론부터 실습까지···맞춤형 교육으로 성공사업 지원
- · 광주디자인진흥원, 디자인사업화 기반구축 지원 '성과'
- · 해양에너지, '대한민국 김치대전' 행사후원 나서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