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60대 44% "일자리 없어 심각"
보수층보다 진보층에서 우려 표명
30대들은 '부동산 문제'에 더 민감
"노동 환경" "정책 부재"도 불만

[광주·전남 이슈 여론조사ㅣ청년문제]
광주·전남지역민 10명 중 4명이 지역 청년층이 불만을 느끼는 가장 큰 요소로 '일자리'를 꼽았다. 당사자인 청년층보다 40대 이상 연령대에서 일자리 부족 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젊은층에서는 이에 못지않게 부동산 문제에 큰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무등일보가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지난 31일부터 이틀간 광주·전남지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500명(광주 216·전남 284)을 대상으로 '광주·전남 청년층 불만 요소'를 조사한 결과 '일자리 부족'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41.3%로 가장 높았다. 이어 '부동산 가격 상승 및 전·월세 문제'가 22.5%, '임금 및 노동환경' 15.5%, '지자체의 청년 정책 부재' 7.7%, '여가·레저 시설 및 공간 부족' 5.5% 순으로 조사됐다. 3.4%는 '없거나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p다.
◆집값 폭등 불만 폭발
지역별로 살펴보면 광주의 경우 '일자리 부족'이 42.0%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부동산 가격 상승 및 전·월세 문제'(24.9%), '노동 및 노동환경'(14.3%), '여가·레저 시설 및 공간 부족'(5.2%), '지자체의 청년 정책 부재'(3.5%) 순이었다. 전남도 마찬가지로 '일자리 부족'이 40.8%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고 이어 '부동산 가격 상승 및 전·월세 문제'(20.6%), '노동 및 노동환경'(16.4%), '지자체의 청년 정책 부재'(10.9%), '여가·레저 시설 및 공간 부족'(5.7%) 순이었다.
광주와 전남이 대부분 항목에서 비슷한 비율을 보인 가운데 광주는 상대적으로 '부동산 가격 상승 및 전·월세 문제'에, 전남은 '지자체의 청년 정책 부재'를 꼽은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대도시인 광주의 부동산 가격 상승 폭이 더욱 컸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첨단·수완지구 등을 중심으로 아파트값이 폭등한 광산구에서 '일자리 부족'(29.0%)보다 '부동산 가격 상승 및 전·월세 문제'(30.9%)가 근소하게 높았다.
연령별로 3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일자리 부족'을 가장 큰 불만 요소로 꼽았다. 30대에서는 '부동산 가격 상승 및 전·월세 문제'를 불만 요소로 꼽은 비율이 36.6%로 가장 높았다. 18~29세에서도 28.6%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사회에 진출한 후 결혼 등의 이유로 주거 실수요가 높은 30대에서 집값 폭등에 대한 불만이 높은 것으로 풀이된다.
'일자리 부족' 문제는 오히려 40대 이상에서 더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는데 40대 44.8%, 50대 43.8%, 60세 이상 43.4%로 나타났다. 또 자신을 진보라고 생각하는 응답자에서 '일자리 부족'이라고 답한 비율이 46.5%로 보수라고 응답한 이들의 비율(30.9%)보다 15.6%p 더 높게 나타났다.
◆일자리 찾아 뜨는 청년들
실제 해마다 광주·전남을 떠나는 청년들이 늘고 있는데 지난해에만 광주·전남을 떠난 청년(만 19~39세)이 1만5천423명에 이른다. 대부분이 수도권 등으로 일자리를 찾아 떠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광주시가 실시한 '광주청년 실태조사'에 따르면 수도권으로 간 청년들의 69.0%가 '직업·일자리'를 광주를 떠난 주된 이유로 꼽았다. 이들은 구체적으로 '낮은 급여 수준'(26.1%)과 '원하는 기업이 광주에 없어서'(24.4%), '기업의 복지 수준이 낮음'(13.5%) 등을 이유로 들었다.
실제 이번 조사에서도 '일자리 부족'과 '임금 및 노동환경'을 더하면 56.8%로 대부분의 불만이 일자리와 관련됐다. 특히 학생 응답층에서 절반이 훌쩍 넘는 53.2%가 '일자리 부족'을 불만 이유로 꼽았다.
'여가·레저 시설 및 공간 부족'을 가장 큰 불만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5.5%로 광주(5.2%)와 전남(5.7%) 간의 큰 차이는 없었다. 지역별로는 큰 차이가 없는 가운데 연령대별로는 18~29세에서 8.9%로 가장 높았다. 또 이념성향별로는 보수층에서 12.0%로 가장 높았고 진보층에서 3.3%로 가장 낮았다.
한편 자세한 여론조사 내용은 무등일보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
광주시민 절반 이상 무등산 케이블카 설치 '찬성'[무등일보·뉴시스·전남일보·MBC·CBS 공동 여론조사ㅣ무등산 케이블카]
찬성 55.7% 반대 38.8%… 18.9% 차
70세 이하 모든 연령대서 고루 지지
-
광주 현안 중 최우선은··· 28.9% "군공항 이전"[무등일보·뉴시스·전남일보·MBC·CBS 공동 여론조사ㅣ시급한 광주 현안은]
쇼핑몰 16.0%… AI도시 육성 14.8%
-
無 김산, 탈당해도 현직 프리미엄··· 民 최옥수에 21.4%p차[무등일보·뉴시스·사랑방닷컴 공동 격전지 지방선거 여론조사ㅣ무안군수 후보 지지도]
모두 경선 컷오프… 최, 재심 끝 공천
김, 강력한 조직력에 큰 격차 분석
최대 현안은 ‘남악·오룡지구 활성화’
-
無 강인규 선두··· 民 윤병태 4.9%p차 바짝 따라붙어[무등일보·뉴시스·사랑방닷컴 공동 격전지 지방선거 여론조사ㅣ나주시장 후보 지지도]
민주당 강세 역대선거와 다른 양상
오차 내 초박빙 구도 지속 가능성
최대 현안은 ‘SRF 열병합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