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임신부·어르신 순차 추진

전남도가 면역력이 낮은 어린이, 임신부, 어르신 등 57만 명을 대상으로 오는 21일부터 독감(인플루엔자) 무료 예방접종을 시작한다. 2020년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등 대면활동 감소로 소강상태였던 독감이 최근 다시 늘고 있다.
올해 독감 유행기준은 외래환자 1천 명당 4.9명으로 결정됐으나 지난 16일 5.1명으로 신고됐다. 이에따라 방역당국은 3년 만에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를 발령했다.
전남도는 인플루엔자 무료 예방접종을 지난해보다 1주일 앞당겨 실시키로 했다. 접종 초반 환자 쏠림 예방을 위해 대상자별 접종 기간을 구분하고 태어나 처음으로 독감 백신을 맞는 영유아와 어린이를 우선 접종한다.
생후 6개월~만 13세 어린이는 21일부터, 임신부는 10월 5일부터, 만 65세 이상 어르신은 10월 12일부터 접종할 수 있다.
전남도는 국가예방접종 대상에서 제외되는 만 50~64세 국민기초생활수급자 2만 2천 명에 대해서도 무료 접종해 의료비 부담을 덜어줄 계획이다. 접종은 보건소와 위탁의료기관에서 가능하고,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 (https://nip.cdc.go.kr)에서 위탁의료기관을 검색할 수 있다. 건강상태가 좋은 날 접종해야 하며, 코로나19 백신과 독감 백신은 접종부위를 다르게 해 동시 접종을 할 수 있다.
문권옥 전남도 감염병관리과장은 "독감 예방의 최고수단은 예방접종이기 때문에 대상자는 반드시 접종해야 하고, 기침예절 준수, 마스크 착용, 손 씻기 등 기본적 개인위생수칙을 반드시 지킬 것"을 당부했다.선정태기자 wordflow@mdilbo.com
-
전남도, 어린이 놀이터 친환경 목재로 새단장 전남도는 생활 속 목재 이용 확산을 위해 어린이 놀이시설을 대상으로 노후 놀이기구를 목재로 새롭게 단장한다. 사진은 친환경목재로 단장한 목포용당어린이공원 놀이터. 전남도는 생활 속 목재 이용 확산을 위해 어린이 놀이시설을 대상으로 노후 놀이기구를 목재로 새롭게 단장한다고 밝혔다. 친환경 목재 놀이터는 플라스틱과 철재 중심의 어린이 놀이시설을 친환경 소재인 목재로 전환해 어린이가 안전하게 뛰어놀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사업이다.어린이 놀이공간의 목재 전환은 목재의 친환경성과 안전성, 온실가스 흡수 기능의 홍보를 통해 목재 이용 및 탄소중립 실천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전남도는 생활 속 목재 이용 확산을 위해 어린이 놀이시설을 대상으로 노후 놀이기구를 목재로 새롭게 단장한다. 사진은 친환경목재로 단장한 목포용당어린이공원 놀이터.지난해 목포시(용당어린이공원)와 무안군(어린이공원31호)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올해는 10억 원을 들여 ▲여수시 양지공원 ▲화순군 광덕제어린이공원 ▲해남군 해리1어린이공원 ▲함평군 대화어린이공원 ▲영광군 신하어린이공원이 조성 중이다.대상지는 어린이 놀이시설의 낙후도, 이용성 및 활용도, 지속가능성 등에 대한 서류 심사와 목재 관련 전문가의 현장심사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전남도는 어린이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창의성과 모험심을 기를 수 있는 다양한 놀이시설을 반영해 어린이 신체 발달과 정서 함양에 도움을 주도록 조성할 방침이다. 놀이공간 주변에 꽃과 나무를 심고 자연을 느끼고 탐구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유치원 및 어린이집 체험교육과 연계를 통한 숲 교육 활성화도 기대하고 있다.한국가구학회지(2012년)에 따르면 목재놀이터는 친환경적이며 가공이 용이하고 안전성, 기능성, 아름다운 디자인과 뛰어난 색채감으로 어린이들의 정서 안정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 목재 큐빅 1g(16㎜)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3.7g을 흡수함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목재 제품 이용을 확대한다면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다.전남도는 생활 속 목재 이용 확산을 위해 어린이 놀이시설을 대상으로 노후 놀이기구를 목재로 새롭게 단장한다. 사진은 친환경목재로 단장한 목포용당어린이공원 놀이터.목포용당어린이공원을 이용하는 12살, 9살 자녀를 둔 탁지영 씨는 "플라스틱 재료로 된 낡은 놀이터가 친환경 소재인 목재 놀이터로 바뀌니 아이들이 놀이터에 간다고 해도 안심이 된다"며 "다른 동네에도 이런 목재 놀이터가 계속 생겼으면 좋겠다"고 밝혔다.강신희 전남도 산림자원과장은 "생활권 주변에 어린이들이 안심하고 자유롭게 뛰어놀 수 있는 자연 친화적 공간이 필요하다"며 "학교, 주택, 공공시설 주변에 목재놀이터를 확대 조성해 이용률을 높이고 탄소저장고인 국산목재를 이용한 다양한 시설 확충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선정태기자 wordflow@mdilbo.com
- · 전복 내수가격 하락, 해외 수출로 '위기 탈출'
- · 목포 평화광장서 '수묵과 클래식의 만남' 즐기세요
- · 세계 농업·농촌 선진 사례 한자리에
- · 23일 목포서 전남귀어 스몰엑스포 개최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