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스타트업 글로벌 시장 진출 발판 마련
AI인재 글로벌 교류·AI 공동 연구 협력도

세계 최대 딥러닝 분야 연구기관으로 꼽히는 캐나다 몬트리올 알고리즘 러닝연구소인 '밀라'(MILA·Montreal Institute for Learning Algorithms)와 주한퀘백정부대표부가 광주를 찾아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이하 AI사업단)과 AI산업 활성화를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이는 김준하 AI사업단장이 지난 6월 캐나다 출장을 통해 퀘백주 정부 관계자들을 비롯해 캐나다 내 AI 핵심기관들과 관계를 구축한 이후, 구체적인 협력 방안 모색을 위해 밀라가 광주를 방문하게 된 것이다.
AI사업단은 지난 21일 광주과학기술원(GIST)에서 프레드릭 로린 (Fredric Laurin) 밀라 파트너십 담당 선임 이사, 롭슨 보드리 (Robson Beaudry) 시니어 어드바이저, 임용우 주한퀘벡정부대표부 상무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캐나다 AI산업 상생발전을 위한 AI사업단·밀라 국제 협력 네트워킹 데이'를 개최했다.
밀라는 기계학습과 딥러닝 분야에서 세계적인 석학들을 보유한 세계 최대 규모의 연구기관으로 손꼽히며, 이날 행사에서는 국내 AI 기업 및 인재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고 공동 연구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
또 AI사업단의 지원 기업인 AI스타트업 엔서, 뉴작 등도 밀라와 일대일 면담을 진행했으며, 캐나다와 북미 진출 및 공동 연구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아울러 '밀라'(MILA)와 주한퀘백정부대표부는 광주 동구에 위치한 'AI 기업 창업의 요람' AI창업캠프를 찾아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AI집적단지) 조성사업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입주 기업 사무실을 둘러보며 광주 AI 산업 생태계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다.
앞서 김준하 AI사업단장은 지난 6월 캐나다 출장을 통해 퀘백주 정부 관계자들을 비롯해, 캐나다 최대 규모 스타트업 커뮤니티 네트워크인 마스 디스커버리 디스트릭트(MaRS Discovery District), 토론토 메트로폴리탄 대학교, 마이탁스(Mitacs), 몬트리올 알고리즘 러닝연구소(MILA) 등 캐나다 내 AI 핵심기관들과 관계를 구축했다.
김준하 단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광주의 AI 인프라와 캐나다의 우수한 AI 기술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국내 AI 기업 및 인재의 글로벌 진출과 공동 연구를 진행하는 발판이 마련될 것이다"며 "앞으로도 캐나다 뿐 아니라 AI 산업 관련 국제 교류 협력 네트워킹을 확장시켜, 세계가 주목하는 광주 AI밸리 조성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석호기자 haitai2000@mdilbo.com
-
전남도, 우주발사체 국가산업단지 기업 유치 '온 힘' 전남도는 지난 8일 서울 메이필드 호텔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흥군과 함께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회원사 100개 기업을 초청, 우주발사체 국가산업단지 기업유치 설명회를 가졌다. 전남도 제공 전남도가 우주발사체 산업 클러스터의 성공적 조성과 우주발사체 국가산단 기업유치를 위해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와 손을 맞잡았다.10일 전남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남도, 고흥군은 지난 8일 서울 메이필드 호텔에서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회원사 100개 기업을 초청해 우주발사체 국가산업단지 기업유치 설명회를 가졌다.이날 설명회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조선학 거대공공연구정책관, 전남도 조재웅 신성장산업과장, 공영민 고흥군수와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대표를 맡고 있는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이사와 협회 회원사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도는 설명회에서 민간 발사장 구축을 포함한 전남 우주발사체 산업 클러스터 조성 계획과 우주발사체 국가산단 조성 계획, 입주기업 지원책 발표 등 전남도 입지 장점과 기업 투자를 유인하기 위한 홍보를 펼쳤다.도는 이날 고흥군,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와 함께 우주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도 했다.협약 내용은 고흥 우주발사체 국가산업단지 조성을 중심으로 우주산업 정책연구 및 신규사업 발굴 등 상호협력 내용을 반영했다.도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우주발사체 산업 클러스터와 국가산업단지가 조기에 완공되도록 노력할 계획이다.고흥 우주발사체 국가산업단지는 오는 2028년까지 고흥 봉래면 예내리 일원 173만㎡ 부지에 국비 3천800억 원을 투입해 액체·고체 기반의 발사체 기업이 입주하는 우주산업 전용 국가산단으로 조성할 계획이다.이에 도는 지난 3월 신규 국가산단 후보지 선정에 이어 5월 국토부, 고흥군, 한국토지주택공사(LH), 전남개발공사와 국가산업단지 상생 협약을 했다.도는 오는 2031년까지 우주발사체 클러스터 조성사업으로 우주발사체 국가산단 조성, 민간발사장 등 핵심 기반(인프라) 구축, 우주발사체 기술사업화센터 건립, 우주발사체 사이언스 콤플렉스 구축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해 고흥을 국가 우주산업의 성장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조재웅 신성장산업과장은 "우주발사체 산업 클러스터를 성공적으로 조성해 민간 우주기업의 발사체 개발과 역량 향상을 집중 지원하고, 민간 기업이 발사체를 자유롭게 발사하는 기반(인프라)을 조성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정부와 우주 관련 기관·기업 등과 협력해 고흥을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중심지로 성장시키겠다"고 말했다.선정태기자 wordflow@mdilbo.com
- · 전남도, 화순 폐광지역 개발 '속도'
- · "참좋은 복지만이 아닌, 통합돌봄 민주주의 정책으로 승화"
- · 강기정 시장 "통합돌봄, 광주정신·포용도시 상징"
- · '누구나·협업·관계' 3가지 키워드에 답 있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