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정 시각 맞춰 '딱딱' 분리…정확도도 확보해
이종호 "기술 확인…국제적 경쟁력 확보할 것"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실제 위성을 싣고 성공적으로 날아오르며 대한민국 우주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이번 3차 발사는 그동안 확보한 자력 발사체 기술의 성능과 신뢰도,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민간 체계종합기업이 전 과정에 참여해 우리나라 민간 우주산업 활성화의 신호탄이 될 전망이다.
2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돼 위성들을 계획된 궤도에 안착시켰다.
이종호 과기정통부장관은 이날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브리핑을 통해 "국내 우주 수송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독자 개발한 누리호 3차 발사가 국민의 관심과 성원 속에 성공적으로 완료됐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어 "차세대 소형위성 2호의 경우 남극 세종기지에서 위성 신호를 수신했음을 확인했다"면서도 "주탑재 위성인 차세대 소형위성 2호와 큐브위성 6기는 정상 분리된 것을 확인했으나 도요샛 4기 중 1기의 경우 사출 성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약간의 시간이 더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앞서 누리호는 이날 오후 6시 24분 고흥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서 발사돼 1단 분리, 페어링(위성 덮개) 분리, 2단 분리부터 8기의 탑재위성 분리까지 완벽하게 모든 비행 절차를 수행했다.
이륙 후 83초 후 첫 고비인 동압점(주변 공기 압력 최대)을 통과했으며, 125초가 지났을 때 고도 64.5㎞에 도달해 1단을 분리했다. 이륙 234초 뒤엔 고도 204㎞에서 페어링 분리, 272초 뒤엔 고도 258㎞에서 2단 분리를 진행했다..
이후 고도 550㎞ 목표 궤도에 안착한 누리호는 주 탑재위성인 '차세대 소형위성 2호'를 분리 후 20초 간격으로 나머지 7개 위성을 순차적으로 사출시키며 923초간의 비행을 종료했다. 위성들은 지상 환경 관측, 우주 날씨 관측, 우주방사능 측정, 국산 우주기술의 우주 환경 검증 등의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이번 누리호 3차 발사는 예정 시각에 맞게 로켓 분리와 위성 사출을 성공시키며 정확도까지 확보했다는 평가다.
남극 세종기지에서 주 탑재위성인 차세대 소형위성 2호와의 첫 위성 수신도 성공했다. 다만 도요샛 4기 중 6번째 위성이 사출 후 확인이 안돼 추가 확인 중이다. 이처럼 성공적인 발사와 위성 수신까지 이뤄지면서 이번 누리호 3차 발사는 '최초의 민간 기업 참여 발사 성공'과 '최초의 실용 위성 발사 성공'이라는 대한민국 우주 역사의 한 획을 긋게 됐다.
한편 누리호는 지난 24일 오후 6시 24분 발사될 예정이었으나 오후 3시께 기술적 문제가 발생하며 일정을 취소했다. 과기정통부와 항우연에 따르면 발사대의 헬륨 저장탱크와 지상장비 시스템을 제어하는 'PLC 장치'에서 명령어가 순차적으로 전달되지 않으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항우연 연구진은 누리호를 발사대에 기립시켜둔 채 24일 오후 3시부터 이튿날 새벽까지 프로그램 로직을 변경하고 제어 프로그램 내 명령들 사이 충돌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했다.
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누리호 3차 발사 성공] 전망대 찾은 시민들 "누리호 성공적으로 날아가 다행" 25일 오후 고흥군 영남면 남열리 고흥우주발사전망대. 경기도 부천 시민 김은주(40·여)씨와 초등학생 자녀 박서준(12)군, 박서아(10)양이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 3차 발사를 보기 위해 돗자리를 깔고 기다리고 있다. 양광삼기자 ygs02@mdilbo.com "TV로만 보던 장면을 두 눈으로 직접 보니 감격스럽네요. 꼭 위성과 교신까지 성공해서 온전히 우리나라 기술로 만든 누리호가 성공적으로 데뷔했으면 좋겠습니다."25일 오후 3시께 고흥군 영남면 남열리 고흥우주발사전망대.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 3차 발사를 3시간가량 앞둔 시간이었지만 역사적인 순간을 두 눈에 담기 위한 시민들의 발길이 전국 곳곳에서 이어졌다.애초 발사 예정일이었던 전날보다 방문객이 눈에 띄게 줄긴 했으나 소위 '명당'이라 불리는 자리는 돗자리와 캠핑용 의자 등으로 발 디딜 틈 없이 빼곡했다.시민들 대부분은 전망대 1층 입구에서 나눠준 '제13회우주항공축제'라는 글씨가 적힌 종이 '선캡'을 머리에 쓰고 뜨거운 햇볕을 피하며 발사 시간만을 손꼽아 기다렸다.25일 오후 고흥군 영남면 남열리 고흥우주발사전망대.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 3차 발사를 보기 위해 전망대를 찾은 시민들이 태극기를 손에 쥐고 연신 흔들며 발사 성공을 기원하고 있다. 양광삼기자 ygs02@mdilbo.com또 시민들은 선캡과 함께 나눠준 작은 태극기를 손에 쥐고 연신 흔들며 '우주강국 대한민국', '대한민국 파이팅'이라고 성공을 기원하기도 했다.누리호가 날아가는 순간을 포착하기 위해 삼각대에 카메라가 흔들리지 않게 고정해 둔 채로 기다리는 시민들도 많이 보였다.경기도 부천에서 온 김은주(40·여)씨는 "초등학교에 다니는 아들과 딸이 3차 발사는 직접 보고 싶다고 해서 오게 됐다. 어제는 아침 7시에 출발해서 오후 4시쯤 도착했었는데 바로 취소돼 허탈했었다"며 "오늘은 꼭 성공했으면 좋겠다"고 했다.누리호 발사를 1시간여 앞둔 같은 날 오후 5시께 연료탱크 충전을 마쳤다는 소식이 들리자 전망대 곳곳은 성공에 대한 열기가 한층 뜨거워졌다.누리호가 전날 발사 제어 컴퓨터와 발사대 설비 제어 컴퓨터 간 통신에 문제가 생겨 연료 주입을 앞두고 발사가 취소됐기 때문이다.이에 시민들은 '오늘은 발사에 성공하겠다'는 생각에 들뜬 표정으로 발을 동동 굴렀다.과학자가 꿈이라는 박진우(12·서울 구로구)군은 "누리호 발사를 두 눈으로 꼭 보고 싶어서 다음에 오자는 아빠를 졸라 녹동에서 불꽃축제를 보고 다시 찾아왔다"며 "순수하게 우리나라가 가진 과학기술로 만든 만큼 발사에 꼭 성공해 대한민국도 우주강국이라는 점을 전 세계에 알렸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말했다.예정된 발사 시간이 코앞으로 다가오자 시민들은 돗자리를 접으며 짐을 정리하는 등 더욱 분주해졌다.이어 누리호를 한 발짝이라도 가까이에서 보기 위해 난간 쪽으로 다가가거나 나무 벤치 위와 같은 상대적으로 높은 곳을 찾아 자리를 잡았다.목말을 탄 채로 쌍안경을 들고 있는 아이들의 모습도 눈에 띄었다.마침내 이날 오후 6시24분 예정대로 누리호가 굉음과 함께 하늘을 향해 솟구치자 전망대 곳곳에서 환호성과 박수 소리가 들렸다.날아가는 누리호가 뽐내는 희미한 빨간색 불빛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시민들, 휴대전화 카메라로 동영상을 찍는 시민들의 모습도 보였다.25일 오후 고흥군 영남면 남열리 고흥우주발사전망대.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 3차 발사가 시작되자 시민들이 태극기를 흔들고 있다. 양광삼기자 ygs02@mdilbo.com누리호가 30초가량 힘차게 오른 뒤 모습을 감추자 시민들은 연신 '성공했다'며 태극기를 흔들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청주에서 왔다는 전시준(10)군은 "2년 전 누리호 1차 발사 때도 이곳에서 직접 봤었는데 두 번 보니 기분이 두 배로 좋다. 생각보다 뚜렷하게 보이지 않아 조금은 아쉽지만 그래도 오늘은 누리호가 성공적으로 날아가서 다행이다"며 "역사적인 현장에 있다는 기분을 말로 표현하기 어려울 정도로 행복하다"고 미소지었다.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 지상 헬륨 밸브 제어 장치 결함···보완되면 25일 발사 가능
- · 누리호, 3차 발사 연기···지상 컴퓨터간 통신 이상 발생
- · 부탑재위성 7기 탑재···위성산업 성장 기회로
- · 작년 누리호 따라 우주간 큐브위성···현재 1기만 작동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